Q. 조선시대의 노비의 비율은 몇프로정도가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 인구통계가 전국기준으로는 작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선 초는 양반이 2프로, 중인이 5프로, 천민이 10프로 나머지는 양민이었습니다. 고려에 비해 양민이 획기적으로 늘은 것은 양민이 국가적으로 중요했기 때운입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신분제는 해이해졌으며, 이에 따라 노비수는 급감합니다. 양반 수는 급증했습니다. 전란과 전란 이후 재정적인 문제로 납속과 공명첩이 남발되면서 신분제의 변동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이에 따라 납세층인 양민의 수가 줄면서 세금 부담이 과도해져 농민반란이나 유망이 많아졌으며 결국 동학농민운동으로 폭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