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같은 성씨라도 파가 다른데 이런파는 왜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는 육촌이 연합해 만든 사로국이 고대국가로까지 성장해 결국 삼국통일까지 하였습니다. 이때 육부족은 최씨, 손씨 등 여섯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성씨를 갖는다는 것은 부족을 표시하는 것으로 그 기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씨는 지배층만이 가질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것이 점차 확대되어 이제 모두 성씨가 있지요.그러다 고려 시대에 성씨가 확대됩니다. 신라는 박, 석, 김씨가 돌아가며 왕을 하다가 김씨 왕위세습이 내물왕 때부터 됩니다. 신라의 지배층은 골품제 하에서 골층이었습니다. 진골, 성골이죠. 통일신라 하대에 이르면서 중앙통제력이 약화된 틈을 타 각지에서 호족들이 할거합니다.다양한 세력들이 있었고 궁예의 후고구려, 견훤의 후백제가 신라와 함께 후삼국시대를 이루지요. 이를 통일한 것은 왕건의 후고구려였습니다. 왕건은 각지의 호족들을 포섭 혹은 연합했습니다. 왕씨 성을 하사한 것도 한 정책이었습니다.성씨가 고려 시대 확대된 것이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강릉의 김순식 집안도 왕건과 연합한 호족이었는데 강릉 김씨의 시조가 될 수 있는 식입니다. 김순식이 자손을 낳고 장남은 대를 잇고 다른 형제들은 다른 지역으로 옮기고 그렇게 되면 파가 갈릴 수 있습니다. 주로 인물을 이름붙여 무슨무슨공파 이런식이죠.조선 시대에 성씨를 갖는 것은 지배층인 양반인데 고려에 비해 많아집니다. 성씨가 더 다양화한 것이고 조선후기 양반수가 급증하며 더 일반화되었으며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사라지며 성씨가 없던 농민이나 천민들도 성씨를 갖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