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호기심이 많으면 좋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호기심이 어느 정도인지, 또 호기심을 표현하는 방식의 적절성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관찰하고 질문하면서 사고력을 발달시켜 나가는 아동인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호기심을 통해 학습 능력을 키워가기도 하고, 지식이 충족되면 만족감을 느끼기도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탐구, 사고력 등이 향상되기 때문에 나쁜 학습방법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다만 오히려 반대로 학습하거나 생각하지 않고 질문부터 하는 경우는 호기심이 아니라 더 구체적인 생각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모습일 수도 있어서, 이러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아이 스스로 생각해 보고, 이유를 탐색하고 관련 학습자료를 연결지어 찾아보게 하는 등의 사고력 향상에 도움 되는 방식으로 교육 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Q. 아기 눈에 자꾸 눈꼽이 끼는데 왜 그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감기에 걸렸거나, 걸린 후에도 바이러스로 인해 눈꼽이 낄 수 있습니다. 눈꼽이 심하게 많이 끼는 경우에는 소아과 방문하셔서 처방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하고, 점차 좋아지는 것 같이 보이시면, 깨끗한 면 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셔서 닦아 주셔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자꾸 비비는 것은 좋지 않아서 경과를 잘 보시고 대처하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Q. 알약을 못삼키는 아이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현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알약을 삼키는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나 불안감으로 인해 삼키는 것을 어려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다그치거나 인위적으로 연습하게 된다면, 심리적 압박으로 더 위축되어 약 복용 자체에 거부감이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다소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아이 스스로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해보고, 그럼에도 먹기 어려워 한다면, 굳이 알약 자체로 먹이지 마시고, 반으로 자르거나 가루로 내어 먹어도 괜찮습니다. (단, 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약국에서 알약으로 받으시고, 나중에 가루로 먹어도 되는 지 여부 확인 필요)목에 무리 가지 않도록 잘게 잘라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그렇게 시도했을 때 성공했으니 칭찬해 주시는 것부터 여러차레 자연스럽게 시도해 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여유를 가지고 스스로 해볼 수 있도록 시간을 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
Q. 아이가 자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자꾸 물건을 집어던지네요.
안녕하세요. 이현희 심리상담 및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화가 나면 아이들은 각자 자기만의 표현 방식으로 화가 난 감정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어떤 아이는 짜증을 내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답답해서 소리치기도 하고, 또 물건을 던지기도 합니다. 사실 화난 감정 자체는 그럴 수 있는 감정이라 공감해 줄 수는 있지만, 화가 났을 때 표현하는 행동 자체는 부모님께서 좋은 방식의 표현 방법을 알려주시는 훈육과정이 필요합니다^^따라서 물건을 던지는 것은 바람직한 표현 방법이 아니므로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알려주시고, 부모님께서 알려주신 대로 표현했을 때 칭찬해 주는 방식으로 강화시켜 올바른 행동으로 바꿔주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물건을 던졌을 때 혼내거나 감정적으로 반응하시거나 또는 화가 났으니 물건 던지는 행동 자체를 수용해 주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Q. 아이가 한가지 물건에만 집착을 하는데 괜찮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유아, 아동기에 일시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동이긴 합니다가령 공룡, 자동차, 거울, 모자 등 특정 물건에 집착하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는데 애착 대상일 수도 있고 남성성 또는 여성성을 상징하며 해당 물건을 좋아하는 것일 수 있고 정상 발달 과정에서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해당 물건에 집착이 과도하거나 다른 물건이나 카인과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다거나 해당 물건에 몰입하여 없을 경우 과잉행동을 하는등의 ㅡ반응을 보인다면 지속적인 반응인지 여부에 따라 전문가와 상의해 보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