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양적완화정책 말고 질적완화정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혜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양적 완화란 시장에 돈을 풀어 시중에 있는 돈의 양을 늘리는거지요.질적완화란, 그 푸는 돈의 종류에 관한 이야기입니다.시중에 돈을 늘리기 위해서는 정부가 채권을 매입해서 시중에 통화를 풀게 되는데, 이 때 공사채처럼 위험성이 낮은채권을 매입할 수도 있겠지요.그런데 회사채나 주식같은 위험성이 있는 자산을 매입해서 특정한 방향으로 돈이 흘러가도록 유도하기도 하는데 이를질적완화라고 부릅니다 ^^즉 시중에 돈을 늘리기 위해 채권을 매입할 때, 우량채권 뿐 아니라 위험성이 있는 자산까지 매입해서 돈이 특정한 곳, 또는 골고루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행위가 질적완화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도 한 번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Q. PPI(생산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 그리고 높고 낮아지면 어떤 영향이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혜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생산자물가지수란 생산자 입장에서 생산을 하는데 중요한 원자재들의 값을 조사한 값입니다.생산자물가지수가 올랐다면, 생산에 필요한 비용이 더 많이 들었다는 이야기가 돼요.생산자 물가지수가 오르면, 사장님들은 물건을 생산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되겠죠.그럼 물건의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을거예요.결과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도 따라 오르게 됩니다.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예언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생산자물가지수가 오르면 당장은 생산자에게 불리해 보이지만 어차피 이는 상품의 가격에 전가 되기 때문에소비자에게도 불리한 일이 되겠지요. 소비재의 종류에 따라 높아진 생산 비용을 소비자에게 얼마나 전가시킬 수 있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유,불리는 구체적인 상품에 따라 다르다고 볼 수 있겠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도 한 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Q. 주식시장에서 왜 과도한 급락시 서킷브레이크를 진행시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혜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씀도 일리가 있고, 실제로 같은 이유로 서킷브레이크 제도를 없애야 한다고주장하는 의견들도 많이 있습니다.서킷브레이크 제도의 역할은 당연히 짧은 시간 큰 폭의 하락이 주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함이구요.인위적으로 장을 멈춤으로써 투자자들에게도 생각할 시간을 주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급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투매를 막겠다는 거죠.물론 이렇게 말을 해도 한 편으로는 이해가 안가기도 하지만, 제도의 의의는 그렇습니다 ^^:그리고 서킷브레이크 제도가 생기게 된 배경을 보면 조금 이해가 가기도 하는데요.1987년 블랙먼데이 사태 이후 만들어졌죠.당시도 프로그램 매매 (컴퓨터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주식을 사거나 파는 매매)가 있던 때였는데, 프로그램들이 주가 하락을 예측 했던 어느 날, 일괄적으로 대량의 매도 주문을 걸었고, 주가 하락과 추가 매도가 반복되면서 역사적인 폭락장을 만들었어요. 이 블랙먼데이 이후 도입된 제도가 서킷브레이크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위 조심 건강조심하세요 ^^좋아요와 추천도 한번 꾹 눌러주신다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