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4월 13일 작성 됨
Q.
유치원에서 용변을 잘 안보려는 아이 어떻게 잘 타이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어른도 집이 아닌 곳에서 용변 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이 또한 바뀌거나 낯선 환경에서는 대변 보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요 집과 같이 익숙한 곳에서는 문제 없이 용변을 보는 아이가 갑자기 참는다면 환경적으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아이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이 어디인지 함께 찾아보고 매일 정해진 시간에 대변을 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중 특정 시간대를 정해 용변을 보는 연습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상 직후나 집에 와서 정해진 시간에 용변을 봐서 실수 하는 것을 줄여주세요. 정서적 불안감으로 용변을 참는다면 아이의 문제가 무엇인지 다양한 질문을 통해 대화를 나눠보고 스트레스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크면서 자연스레 밖에서 용변을 보기도 합니다. 한번 성공한 경험을 가지게 하면 자신감을 가지고 이후에도 계속할 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13일 작성 됨
Q.
480일 아기 잠잘때 침대위 전체를 뒹굴거려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램수면의 비율이 크며 특히 신생아의 뇌 활동은 아주 활발하여 렘 수면과 논렘 수면의 사이클이 비교적 짧습니다. 자면서 뒤척이거나 몸부림을 치는 것은 렘수면 시 일어납니다. 렘 수면은 성인의 경우 전체 수면 중 20%전후이지만 아기의 경우 약 5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때문에 수면시 몸을 움직이거나 뒤척이게 되는 것입니다. 아기가 자면서 몸부림이 심하면 안좋다라고 걱정하시는데 수면중에 몸부림을 치는 것은 신경과 근육의 피로를 풀기 위한 것이며 클수록 몸부림은 줄어듭니다. 아기 몸부림은 아기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무호흡증이나 아이가 괴로워하는 증상이 없다면 몸부림이 심하다고 해서 걱정하거나 고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아기들의 경우는 자면서 몸부림을 치지 않는 다면 뇌운동이나 신경계 발달이 활발하지 못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13일 작성 됨
Q.
16개월 아기인데 졸리면 자꾸 꼬집어요 왜그러죠???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꼬집고 때리는 것은 그 시기 때 일어날 수 잇는 자연스러운 행동이지만 자면서 꼬집는 것은 그 행동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아이들은 잠이ㅠ오면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래서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고자 엄마 귓볼을 잡거나 엄마 팔을 주무르면서 자는 아이도 있습니다. 대부분 크면서 많이 좋아지지만 꼬집는 행동은 다른 사람이 아파한다고 확실하게 이야기해 주고, 잠이 와서 불편하면 인형을 안거나 엄마를 토닥토닥하거나 다른 방법을 써보자고 이야기해보세요.
양육·훈육
2023년 4월 13일 작성 됨
Q.
아이 주변에 나쁜 표현을 쓰는 친구들이 생겨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 218입니다.요즘 아이들은 유투브의 영향으로 유치원때부터 좋지 못한 언어 습관을 가진 친구들이 많습니다.나쁜 말을 하는 것은 강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사자가 갈기를 세우고 고양이가 털을 세우듯 아이들은 욕을 하면서 자신이 약한 존재가 아님을 과시 합니다. 강렬한 공격성을 드러내어 상대를 제압하려는 것이죠. 그래서 자신감이 없는 아이, 신체적으로 뒤처지는 아이들이 오히려 나쁜 말을 많이 합니다. 나쁜 말을 통해 자기의 약점을 보완하려는 시도입니다. 아이들의 문화가 어떻든 간에 나쁜 말은 하는 이유는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나쁜 말을 하는 것을 그냥 두고 볼 수는 없습니다. 부모는 무엇이 옮은지 어떤 언어 문화가 바람직하지 자녀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친구가 나쁜 표현을 하는 것은 이런 이유라고 설명해주시고, 그러니깐 그런것에 휩쓸리거나 주눅들지 말고 너의 방식대로 표현하라고 이야기해 주세요.
놀이
2023년 4월 13일 작성 됨
Q.
야외활동이 늘어 까매지는 아이피부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 218입니다.우리 아이들의 피부는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아이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선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발라주어야 합니다. 모자나 양산도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성분이 순한 것으로 선택하셔서 야외 활동이 있는 날에는 꼭 발라 주세요. 이미 피부가 탔다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돌아옵니다. 수딩젤 충분히 발라주셔서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