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상돈 전문가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전문가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장상돈 전문가
산림일자리발전소
역사
역사 이미지
Q.  요즘 대한민국 군수산업의 수출이 왕성 하더라고요 폴란드 인도네시아 기타 유럽 국가들한테 우리나라 군수산업은 언제 기반을 닦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되어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죠.그래서 항상 군사훈련을 하고 있습니다.군수물자의 성능테스트가 실제 훈련에서 이루어지는 셈이죠.폴란드는 독일로부터 전쟁피해보상금으로 받은 현금을 들고 우리나라를 찾았는데요.독일 무기를 수입하고자 했으나, 가장 큰 문제는 납품일정이었습니다.폴란드 대통령이 직접 K2전차 10대, K-9자주포 24문이 도착한 날 기념식에서,"계약하자 이렇게 빠른 시간 안에 무기가 도착했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군요.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전쟁 중인 상황에서, 바로 접경지역인 폴란드의 방어용 무기가 급했기때문입니다.무기를 만든다고 해도 실전과 같은 훈련에 사용할 일도 없기때문에 다른 나라들은 무기생산에 투자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우리나라는 핵무기를 보유할 수 없고,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도 제한되어 있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의 무기들을 대량으로 구입해야했죠.우리나라는 미국 무기를 구매하는 세계 3-4위 국가입니다.미국 록히드 마틴사의 스텔스 전투기 F-35A, 노스롭 그루먼사의 고고도 무인 정찰기 글로벌 호크, 보잉사의 대형공격헬기 AH-64E 아파치가디언 등을 막대한 비용을 주고 구매했는데요.이렇게 막대한 무기수입액은 당연히 미국으로부터 다른 보상도 받아내게 되죠.역사적으로는, 박정희대통령이 백곰사업으로 독자적 미사일 개발을 하자, 미국이 반발하고, 일본과 러시아도 반발했습니다.그래서 당시 노재현국방장관은 워컴 주한미군사령관에게 180km사거리제한이 담긴 문서를 전달했죠.전두환대통령은 아웅산테러를 당한 후, 현무사업으로 미사일개발을 재개합니다.이 사실이 알려지자, 미국은 다시 1990년,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 개정으로 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 이상의 로켓시스템도 개발을 금지한다는 약속을 강요합니다.국군의 주력 미사일인 현무는 연구개발의 방식 자체가 사정거리가 제한될 수 없는 것이었지만, 미국과의 협상은 1995년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가입, 사거리 300km와 탄두 500kg 이내로 사거리 규제로 변경합니다.마침내 2021년 5월 22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의 폐기가 확정되었습니다.이미 우리나라는 현무4까지 개발한 상태였습니다.여기에 민간로켓 "나로호"의 발사로 이미 우리나라가 미사일 사거리의 한계가 없다는 것을 알렸죠.여기 탑재된 나로과학위성(STSAT-2C)은 103분마다 한바퀴씩 지구를 돌며 우주방사선 측정, 우주이온층 관측 및 국내에서 개발한 우주기술을 검증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그러나 현대첨단과학기술은 무기가 인공위성의 전파를 사용해야하고, 다른 나라 인공위성의 전파로 운용될 수가 없는 것이죠.그래서 한국형 인공위성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입니다.한국 잠수함, 도산안창호함은 장비 국산화 비율이 76%에 이르는 데요.해군의 잠수함 전력은 세계 최고라고 알려져 있습니다.한국형 초음속전투기 KF-21은 세계 8번째 4.5세대 첨단 초음속전투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미국의회는 F-35A기를 판매한 록히드 마틴사가 약속한 첨단기술의 제공을 거부했고, 이를 이유로 우리나라에 첨단기술(스텔스, 레이더)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다시 말씀드리자면, 미국의 무기를 막대한 자금을 들여 구입한 이유는 우리 국방을 자주국방화하기 위해서 미국의 인준을 받기 위한 것이라고 봐야되겠죠.폴란드가 구매한 K2전차는 한국지형에 맞게 활강포가 탑재되어 전차가 흔들리거나 구릉을 오르내리면서도 탁월한 적중률을 자랑합니다.세계 최고 1,500마력을 보유한 전차이기도 하죠.세계 최고의 기술을 가진 과학자, 기술자, 연구소, 산업체들이 자주국방 또는 무기 국산화에 집중된 국방예산을 가지고 개발한 결과라고 해야겠지요.이를 위해서 꾸준히 국방예산을 늘리고, 외교적으로도 지혜롭게 처신한 결과이기도 할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현재 진행중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상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겠다고 하는 것을 반대해 왔습니다.이미 옛 소비에트연방(소련)이었던 나라들이 대부분 나토에 가입한 상태입니다.우크라이나는 슬라브족의 기원이 되는 장소이고,러시아제국 이후, 슬라브족은 러시아인들의 민족적 동일성의 한 표시이기도 하죠.더군다나 우크라이나 키에프에서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까지는 756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나토는 구소련 연방에 속했던 나라들에 군사기지를 만들었기때문에우크라이나 키에프에 나토의 군사기지가 들어선다면, 700킬로 반경 안에 모스크바가 존재하게 됩니다.푸틴은 나토가 우크라이나만 아니라, 옛 소련의 연방국가들로부터 철수하라고 요구하는 것입니다.이 전쟁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전쟁이 아니라,나토를 지원하는 미국과 러시아의 전쟁이 될 수 있기때문에,러시아가 핵무기 사용까지 언급하고 있습니다.우크라이나의 입장에서는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했고,우크라이나 동쪽,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 루간스크 인민공화국(LPR)의 독립을 인정했고, 사실상 러시아와 병합인 형태가 되고 말았기때문에,우크라이나 역시 가만히 당하고 있을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그래서 지속적으로 나토가입을 요청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나토가입, 그리고 나토군의 우크라이나 주둔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전쟁선포하면서, 푸틴 대통령은 NATO가 러시아의 국가로서의 역사적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시장에서 김프와 역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김치프리미엄은 대한민국 암호화폐거래소에서 해외 암호화폐거래소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암호화폐들이 거래된다는 의미인데요. 역프는 당연히 그 반대의 의미인 것이죠.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배경에는 우리나라 거래소가 폐쇄적이기때문이라고 해야겠죠.상식적으로 해외거래소에서 싼 암호화폐를 매수하고 국내거래소에 송금해 비싼 가격으로 매도하면 차익을 챙길 수 있고,이렇게 재정거래(Arbitrage, 해외거래소와 국내거래소를 오가며 암호화폐의 차익을 이용한 암호화폐매매)가 신속하고 활발하게 일어난다면, 김치프리미엄도 역프리미엄도 발생하기 어렵겠죠?그러나 재정거래를 하기위해서는 외환거래를 먼저 해야합니다.예를 들면, 미국 소재 암호화폐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사려면, '달러'가 있어야겠죠.그런데 이렇게 미국에서 달러로 매수한 비트코인을 국내거래소로 송금한 후, 다시 원화로 매도하면,외국환거래법을 어기는 것입니다.우리나라 원화는 카드사용을 통해 은행에서 외국환과 교환된 가치로 사용하는 것 외에, 직접 종이화폐인 원화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죠.여러 가지 이유로 우리나라의 암호화폐거래소는 상당히 폐쇄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전세계 최초로 트래블룰을 적용한 국가이기도 하죠.그래서 우리나라 암호화폐거래소 안에서 수요과 공급이 발생시키는 암호화폐 거래가격은 전세계 암호화폐거래소의 다양한 수요와 공급이 만들어내는 암호화폐 거래가격과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네덜란드는 어떻게 해서 튤립의 나라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튤립의 원산지는 파미르고원이라고 하네요.그런데 지금의 튀르키예에서 이슬람권 남성의 머리에 쓰는 터번(Turban)처럼 생긴 생김새 때문에Tülbend(튈벤드)라고 불렸는데,이것이 라틴어 tulipa와 프랑스어 tulipan을 거쳐 영어로는 Tulip이 되었다고 합니다.튀르키예사람들이 튤립을 국화(國花)로 정하고 가장 사랑하는 꽃이지만,세계 역사 속에 튀르키예가 잘 다루어지지 않았기때문에,오히려 튀르키예로부터 가져온 튤립을 네들란드가 상업화한 것만 알려졌죠.1593년경 레이던 대학교의 식물학자 카를로스 클루시우스가 네들란드에서 튤립 재배에 성공하고,세계 무역의 강자였던 네들란드의 풍부한 자금이 원예나 식물학에 관심을 쏟았고,그 배경으로 처음보는 꽃 튤립에 광풍을 일으키고,무역상품의 하나가 되죠.튤립 구근 하나에 집 한 채의 가격인 경우도 있었다고 하니, 튤립을 네들란드에서 유명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죠.물론 튤립버블이라고 불리는 가격폭락이 이어져, 자본의 이면을 보여주기도 했죠.네들란드에서 튤립축제가 매년 열리고 있고, 지금도 90억송이 이상 재배되고 있다고 하니,네들란드를 튤립의 나라라고 부를 수 있겠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춘문예 공모 아직도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상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럼요.매년 새로운 작가들이 문단에 등단하는 가장 중요한 길로 신춘문예입상이죠.인터넷에 '신춘문예' 검색하시면, 신문사와 각종 언론매체들의 신춘문예 작품공모를 보실 수 있어요. 2023년 신춘문예 작품공모는 12월 초까지 작품을 보내야하기 때문에,지금부터는 2024년 신춘문예 작품공모를 위해 미리 작품을 준비해 보시죠.2023년 10월쯤 공모를 확인하셔서 작품을 보내시면 되십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