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영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전문가입니다.
전영균 전문가
강원대학교 경영회계학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중앙은행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중앙은행은 각국의 통화 발행, 지급결제 시스템의 감시 등이 있으며 사실 중앙은행에서 해야하는 가장 큰 역할은 물가안정이라는 큰 목표가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환율 어디까지 예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환율로만 봤을 때는 금융위기로 볼 수는 있긴 합니다만 아직 다른 경제지표가 위기 상황이 아니기에 질문자님께서는 우선 안심하시길 바랍니다.그래도 1500원은 넘지 않아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진짜 너무 올라서 제 생각에는 슬슬 안정화가 이뤄질 것 같기는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코인시세 해외거래소가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시세에는 맞다라는 개념이 없습니다.만약 질문자님이 해외거래소를 이용하시면 그것이 맞는것이고 국내를 이용하시면 그것이 맞는 겁니다.해외와 우리나라의 프리미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격괴리가 발생하고 이를 김치프리미엄이라고 명명한답니다.결론적으로 어디가 맞다라는 개념은 없고 그냥 질문자님이 이용하시는 거래소의 가격을 그냥 보시면 된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소액 투자자의 경우에는 하나의 종목 투자와 분산 투자 중 어떤 것이 조금 더 유리하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수익측면에서 보았을 때 종목을 잘 골랐다는 전제하에는 당연히 하나의 종목이 수익률이 좋죠.그러나 미래를 보고 언제나 소액으로만 투자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소액이라도 분산투자하는 것을 연습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개미털기라는건 어떻게 알아차리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매매하는 시점에서는 이게 개미털기인지 알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은 없답니다.시간이 지나고 조정파동이였다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결국 가격이 오른다면 개미털기 였네 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죠.
자산관리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청년소장펀드 추가매수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납입가능금액 초과로 인해 그런 상황이 발생하신 것 같네요.질문자님의 청년펀드를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셔서 내 계좌 또는 펀드정보 탭에 들어가셔서 가능금액을 확인하시는게 첫번째 스텝이고 해당사의 직원에게 문의하셔서 금액조정이 가능한지 확인하는게 두번째 스텝입니다.(규정에 따라 안될 가능성이 크긴 합니다.)
자산관리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월세와 전세 어떤것이 부를 쌓는데 더 빠를까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월세가 더 부를 쌓는 개념으로 접근할 때는 맞다고 봅니다.우선 전세를 들어가게 되면 내가 가용할 수 있는 자산이 묶이게 되고 더 큰 기회가 왔을 때 잡기 힘들 수가 있죠.만약 안정을 원한다면 전세가 나을 수 있으나 부를 쌓는 것이 목적이 된다면 월세가 더 좋아보이고, 하루하루 열심히 산다면 월세를 내는 금액이 부담 안되실거라고 생각해요(개인차존재). 경제적자유를 위해 화이팅입니다!
예금·적금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연금저축 상품 선택 시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연금은 지급나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우선 65세 지금인지 60세 지급인지를 체크하시고 그 다음 피치 못할 상황이 생겨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이자율이 어느정도 보존되는지 원금은 손해없는지를 체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현물은 마이너스를 버티는게 답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까지 시황을 봤을 때는 존버가 맞긴하지만 그게 또 언제 탈출시켜줄지도 모르고 그 시기가 엄청 오래걸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투자의견으로 봤을 때는 매수들어갔을 때 선정하셨 던 손절선에 닿으면 손절하는 것이 맞다는 의견 한표 드립니다.
자산관리
2024년 12월 19일 작성 됨
Q.
돈을 많이 찍으면 왜 인플레이션이오나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원리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가치가 떨어집니다.예를 들어 햄버거가 있을 때 본인에게 하루에 하나밖에 안주어졌을 때의 가치와 하루에 10개씩 주어졌을 때의 가치가 다르듯이 돈도 똑같다고 보시면 되요.많이 발행하면 발행할수록 그 가치가 떨어지죠^^
226
227
228
229
2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