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강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강환 전문가입니다.
정강환 전문가
건국대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코로나2차주사맞고 안아픈데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코로나백신의 부작용은 고열, 두통 , 근육통 등이 있을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부작용 증상이 많다고 항체 생성이 많다는 연구결과는 명확하게는 없습니다. 하지만 항체 생성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는 피검사를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코로나 항체 피검사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코로나 백신 3차 맞은지 4일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보통 백신 부작용은 백신 맞고 나서 3일후에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증상이 남아있다면 진료를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팔 쪽의 간지러운 증상이 남아있다면 피부과 진료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가 계속 이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바이러스는 진화를 거듭하기 마련입니다. 바이러스도 숙주가 죽으면 생존할 수 없으므로 대개 진화방향은 감염률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은방향으로 진화하기 마련입니다. 감기바이러스를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코로나도 현재로서는 감염력은 높아지나 치명률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델타변이에 비해 현재 오미크론/스텔스오미크론이 감염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노바벡스와 화이자, 모더나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백신이며, 노바벡스는 단백질 백신입니다. 모더나와 화이자는 콜드체인을 통해 운반해야 하나, 노바백스는 콜드체인이 필요없어서 운반시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노바벡스는 mRNA 계열인 모더나/화이자 보다 심근염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백신 접종 후 3주째인데....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기저질환이 없고 건강하시다면 크게 걱정은 하실 필요는 없으시지만, 걱정이 되신다면 심장내과 방문하셔서 심근효소 수치 검사 및 심초음파 검사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코로나19 무증상은 자가격리 며칠인가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무증상 코로나 확진자 같은 경우에도 원칙은 같습니다. 현재는 확진일 기반 격리해제를 하고 있으며, 증상악화가 없다면, 예방접종 완료자는 7일,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10일후 격리해제를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건 보건소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명치 왼쪽으 통증과 불편함은 위 부분일까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명치통증인데 속쓰림이 동반되신다면 위장관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소화불량도 같이 있으시다면 가까운 소화기내과 방문하셔서 위내시경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입안이 찢어지면 이비인후과를 가나요 치과를 가나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입안 열상 같은 경우에는 치과에 가셔도 되지만, 성형외과에서도 담당합니다. 가까운 치과나 성형외과 방문해보시고, 방문하시기 전에 전화로 문의드리고 가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코를 너무 심하게 고는데 병원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심한 코골이는 수면성 무호흡의 증상일수 있습니다. 코골이 소리 자체 보다는 수면 시 무호흡증으로 인한 저산소증이 문제가 될 수가 있습니다. 가까운 이비인후과 가셔서 진료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월 31일 작성 됨
Q.
늑연골염에 대해 여쭤 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늑연골염이란 늑골에 붙어있는 연골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검사방법으로는 CT 또는 초음파가 있습니다.보통 진통소염제를 먹으면서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되지만,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주사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증상 지속시 통증의학과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