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정소원 전문가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8살 왼손잡이 고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가 성장할 때 부모님 입장에선 빼어난 것도 좋지만,눈에 크게 띄지 않게 평균보다 조금 나은 정도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클 수 밖에 없죠사실 저도 왼손잡이인데,부모님께서 훈련을 통해, 6-7살 즈음에 오른손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그렇지만,우리가 오른손잡이가 되거나, 왼손잡이가 되는 것은 단지 성향이나 취향 또는 성격이 아닌,타고난 뇌의 구조에 의한 것입니다.우뇌 좌뇌 모두 손의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를 가지고 있으나어느 한쪽 뇌가 더 우세한 거죠.​그것을 교육에 의해 바꾼다면, 이는 더 발달한 뇌쪽 기능을 억제하는 것입니다.물론 바꾼다고 뇌기능이 떨어지거나, 아이의 미래에 큰 영향이 있진 않겠지만국어보다 수학을 잘하는 아이에게, 굳이 국어를 전공하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지 않을까요?​특히, 이미 할 수 있는 기능을(왼손으로 하던 작업)다시 디폴트로 새로 시작하는 상태가 되므로아이는 본인의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제가 어릴때는가위나 모든 기구가 왼손잡이에 불편할 수 밖에 없는 세상이었으나이미 세상이 많이 바뀌었으니 가능한 아이의 타고난 기능을 인정해주시면 어떨까요​조심스레 권유드립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 발음이 좋지 않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의 발음에 대해 이미 교육도 받고 계시다고 하니몇가지 추가 말씀만 드리려 합니다.​첫째 절대 발음을 지적하지 마세요.발음을 고치려다가 오히려 아이의 자존감에 상처를 주게되어언어표현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만들 수 있습니다.​둘째, 더 또박또박, 천천히 아이와 대화해 주세요집에서 천천히 동화책을 읽어주시고아이가 한 말을 한번 천천히 또박또박 되물어 주시는 방법을 권유 드립니다.(빵 주세요....라고 하면 빵. 주. 세. 요.라고 했구나.... 식으로 천천히 따라 해주는 방법입니다.)​셋째, 동영상은 말하는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오히려 발음에 지장을 주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가능한 나이가 많이 들 때까지 삼가해 주시면 좋습니다.넷째, 혹시 설소대 검사를 하셨는지 궁금한요.그외에도 혹시 아이의 발음의 문제가 신체적 발음 기관과 관련된 것인지뇌신경적인 문제와 관련된 것인지 꼭 병원에서 확인 받으신 후 치료를 선택하셔야 함을한번 더 당부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신생아가 있는 방의 환경(온도. 습도)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손녀를 기다리는 조부모님의 따뜻한 정성과 걱정 설렘이 느껴지네요.모쪼록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저는 늘 먼저 라고 부탁을 드린답니다.과거 세대에서 흔히 이라며 아기에게 바람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동시에꼭꼭 싸는 습관이 있었지요.지금도 많이 그러시구요.그러나 난방상태가 바뀐 것을 생각하면 지나치게 아기를 싸는 가끔 영아돌변사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아기는 성인에 비해 혈액순환이 떨어지므로 손과 발은 지나치게 차게 만져지고, 가슴과 얼굴 배는 열이 쉽게 빠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따라서 현재 날씨 정도에서 손싸개나 양말은 꼭 신겨주시기 바라며몸통은 약간 시원하게 해야함을 꼭 염두에 두시면 제일 좋습니다.비상약은 만 6개월전까지 해열제로 타이레놀 시럽을 구비해두시면 좋구요.일정한 생활소음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가끔 문닫는 소리에 깜짝 놀라는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사실 신생아가 가진 기능으로 절대 위험하거나 경기가 아님을 기억해 주세요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 눈꺼풀에 알갱이처럼 만져지는 것.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말씀하신 경우는 아마 흔히 라고 불리는 경우로 짐작됩니다.이런 경우는 사실 수술로 치료하는 수 밖에 없는데아이가 어리니 지금 당장 수술하기엔 힘들 수 밖에 없어서안과 선생님께서 지켜보자고 하신 듯 합니다.콩다래끼가 생긴 상태에선 수술 외엔 방법이 없으니이런 아이들은 흔히 눈을 많이 비비거나 하는 습관으로 이후 또 급성 다래끼가 잘 재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이에 대한 예방이 훨씬 중요합니다.혹시 안구주변에 아토피가 있는지, 눈썹이 자주 찌르는지 꼭 확인하시고 이에 대해 예방적 치료를 하심과 동시에손의 청결이나 손톱에 대해 특별히 더 신경을 써주시는 것이이후 재발되는 다래끼에 대해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육아 언어발달에 대하여 질문드리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상담에 앞서말씀하신 연령이 에 해당하는 지 아니면 그냥 한국식 나이계산에 의한 것인지가 매우 중요합니다.만약 만으로 3세 이전, 특히 24개월 이전이라면표현언어보다는 수용언어, 즉, 언어를 이해하는 정도가 말하기보다 더 중요합니다.이 때는 하는 정도의 놀이에서 부터 물건을 가리키지 않은 상태로 하는 물음을 자주 하는 것이 좋겠지요​그러나 만 3세에 해당하고말할 때 문장이 아닌 단어로 표현하고 있다면반드시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셔서 언어발달에 대해 자세히 상담받으셔야 합니다.이미 영유아 검진에서 일차적인 검사를 받아오셨을 테니해당 병원에 내원하셔서 상담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