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정소원 전문가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밥을 잘 안먹으려는아이ㅜㅜ어떻게 고치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식사 준비하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가버리곤 하는데,여기다 밥 먹이기가 전쟁이 되면 정말 진이 빠지죠...일단, 조언을 드리기에 앞서아이마다 식욕과 취향이 제각각이라, 먹이기의 란 없다는 점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이게 좋다더라, 저게 좋다더라 보다...최대한 아이의 취향에 맞추면서 가능한 건강한 밥상을 제공하는 것이가장 좋은 방법입니다.​4살 아이라면 보통 식사 중에도 집중에 어려움이 많습니다.또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서, 오히려 반찬이 많을수록 식욕을 잃거나골고루 먹는 일이 공부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저는 그래서, 이 나이의 경우 를 권유합니다.즉, 어머니가 주고 싶은 재료들과 아이가 좋아하는 재료를 섞어서스스로 손가락으로 집어먹게 하는 거죠.특히 이 나이의 아이의 경우 큰 건더기를 거부하는 아이도 많은데요재료를 가능한 잘 다져서 비빔밥이나 볶음밥처럼 만든 뒤 김에 싸주고 나 하는 방법도 있고동그랗게 말아서 살짝 튀겨주는 방법도 좋습니다.(어린아이에서 숟가락이나 포크 등을 사용하는데 거부감이 들 수도 있는데이런 경우에도 핑거푸드가 아주 효과적입니다.)​핑거 푸드의 이점을 다시 요약하자면재료를 골고루 넣을 수 있고,너무 많은 반찬속에서 아이가 곤란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며,숟가락과 포크 사용에 거부감이 있는 경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추가되는 조언 1.다급한 마음에 아이가 입을 벌렸을 때미리 음식을 넣어버리는 경우가 흔치 있지요...(네...저도 몇 번 그런 적이 있습니다..)그런데 이때 아이는 강요당한다는 생각에 음식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는 경우는 두려워서 받아 넣었을 뿐사실은 토하고 싶다는 마음이 반영된 것입니다.이런 경우 계속 먹이지 마시고 한두 시간 기다렸다 다시 한 번 더 식사를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되는 조언 2.식욕이 지나치게 없는 경우오히려 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빈혈이 있으면 더 배고플 것 같지만, 오히려 식욕이 떨어지며식사시 짜증을 내는 빈도도 많기 때문에 더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꼭 1년에 한번은 검사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 4 남아 입니다. 성장주사관련보험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성장호르몬 주사의 경우 보험 기준에 해당하는 투여 대상은 해당 역연령의 3퍼센타일 이하의 신장인 동시에,2가지 이상 성장호르몬 유발검사로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확진되고, 해당 역연령보다 골연령이 감소된 경우 입니다.말씀하신 자녀 분의 경우 키성장에서 해당요건에 포함되지 않는데,문제는 그것보다 성조숙에 자세히 검사해야 하는 상태라는 것입니다.이는 호르몬에 대한 검사를 요하며실제 성조숙에 의해 키성장이 빨리 정지되는 것이 더 최종키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이에 대해 정확한 검사와 향후 추이 관찰이성장호르몬 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가능한 단순히 골연령 검사만을 받고 끝내지 마시고소아내분비과로 내원하셔서 꼭 호르몬 및 성조숙 여부에 대한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새벽에 아이가 자주깨요.해결좀할방법좀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밤에 자다가 울면서 깼을 때는 먼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완전히 깬 상태로 주변의 눈치를 보면서 울고 있다면이는 무언가에 대해 겁에 질려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적극적으로 개입하셔서 원인을 교정해 주셔야 합니다.특히, 다음날 아침에 다시 물어봤을 때,아이가 밤에 깨서 울었던 것에 대해 기억하며부끄러워하거나 눈치를 본다면 여기에 해당합니다.이때 단순하게 이야기로 원인에 대해 알기 어려우시다면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바로 소아 신경정신과로 내원하여 상담받으셔야 합니다.​그러나,아이가 자다가 마치 귀신을 본 듯이 갑작스레 크게 울거나,울고 있을 때 깨어 보아도 부모님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는(마치 낯선 사람처럼 보거나,반대로 아예 부모님이 보이지 않는 것처럼 행동한다면) 것처럼 보인다면보기에만 깨어있을 뿐 실상은 가수면 상태인 것입니다.이는 일시적인 몽유 증상으로 흔히 이라고도 합니다.몽유 증상이라 하면 놀라시겠지만나이가 어릴 때는 성인에 비해 렘수면이 길고 오래가므로일시적으로 피곤할 때 몽유 증상이 정상 아동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때 특징은낮에는 전혀 다른 아이로 변하여 활동하고 잘 놀며,실제 다음날 아침에 밤에 울었던 걸 물어보아도 기억조차 못 하는 경우입니다.만약 여기에 해당한다면 낮잠을 조금 늘려보거나, 낮에 지나친 활동을 자제시킴으로써수면의 질을 높여주세요​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19개월 아기 잠도 오래 안자고 투정도 심한데 원래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첫 번째 방법으로는가능한 주말에 조금 심하게 놀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시길 권유 드립니다.피곤엔 장사 없고 밖에서 서너 시간 뛰어논 아이는 그날 밤에 일찍 잠들 수밖에 없지요단 하루가 아니라, 조금 힘드시더라도 2-3일 연속으로 시도해 보시길 권유 드립니다.​두 번째로는 2-3일간 낮잠을 자주 짧게 자도록 하는 것입니다.낮잠을 못 자게 하는 것이 아니라 30분 자면 깨우고, 1시간 이상은 절대 못 자게 한 뒤깨면 징징대더라도 30분 이상 깨어있다가 다시 잠들면 또 30분 후에 깨우는 방식을 쓰는 것입니다.(아예 못 자게 하는 것은 절대 불가입니다.)대신 이 방법은 단기간에만 해야 하고, 절대 밤 시간에서는 사용하면 안 되는 방법입니다.​위의 두 방법을 시도해 보았는데도 아이가 잠자기를 꺼려 하고 심지어 무서워한다면아이가 을 가진 경우라고 보아야 합니다.​잘 자던 아이가 어느 나이 때부터 갑자기 잠투정이 심해지고졸리면서도 수면을 거부하게 되는 경우가 이것입니다.이렇게 되는 원인은 예민하고 감성이 풍부한 아이가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이런 상황에 대한 두려움, 떨어지기 싫은 마음 등으로아이는 잠투정을 하면서도 잠을 거부하게 되는데요.일단은 계속 안심을 시켜주시고,엄마 아빠가 항상 네가 자고 있을 때도 너를 지키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합니다.특히 자다가 갑자기 깨어났을 때혼자 누워있는 경험을 하면 이후에 훨씬 불안감이 커지므로당분간은 부모님 중 한분은 아이가 잘 때 꼭 함께 있어야 함을 기억해 주세요.다만 이 시기가 그다지 길진 않을 테니 너무 걱정 마시길 바랍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19개월 아기 휴대폰 티비를 보여줘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동영상 시청은 모든 부모님들의 걱정이죠.만 3세이전은 아예 보지 않게 하면 가장 좋지만이미 그것이 불가능 하다면피해야 할 동영상만아라도 구분해 주시면 어떨까 합니다.​지나치게 화려한 색깔 또는 형광색으로 번쩍이는 화면은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예로, 과거에 TV를 시청하던 어린아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경기를 보인유명한 사건이 있습니다.(당시 동일한 시청시간대 경기를 일으킨 아이가 백명이 넘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피카츄가 형광색 번개를 내뿜으며 소리를 내는 영상이었죠.​즉, 너무 강한 빛과 속도의 자극은 아이의 뇌에 과민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이런 영상만은 꼭 피해야 합니다.​뽀로로 정도나 교육방송에서 나오는 인형극 정도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지나치게 화면전환이 빠르거나 화려한 색이 넘쳐나는 영상만이라도 걸러주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