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중화학공업은 어떻게 발전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1970년대 초부터 선진국들의 경공업제품에 대한 수출규제가 시작되었으며, 제1차 세계석유파동은 정부로 하여금 그 동안의 경공업중심 수출지향적 정책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하였습니다.따라서 우리 정부는 경공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증가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수입에 의존했던 중간재를 국내공급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1972년부터 실시된 제 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부터 본격적인 중화학공업육성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정부가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자 한 산업에는 조선 · 자동차 · 철강 · 석유화학 등이 포함, 정부는 1973년 6월에 중화학공업육성 정책을 수립하고 철강 · 조선 · 비철금속 · 기계 · 전자 및 화학공업의 6대 전략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금융 및 세제상의 혜택을 줌과 동시에 필요한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인 외자유치를 추진하였습니다.이로 인해 그 동안 진행된 여러 가지의 수출지원 정책들은 크게 축소된 반면, 중화학공업에 대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72년∼1976년) 동안 종합제철, 석유화학 계열공장, 기계공업 육성 등 중화학공업의 건설이 촉진되었습니다.
Q. 양봉 사업에 필요한 능력치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양본산업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벌에대한 이해가 필요 합니다.사용해야 하는 자재들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며,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을 키우시는 것은 기존 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 배우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양봉관리지도사 과정을 통해 양봉에 대한 기초지식을 쌓으시는게 좋으실 것 같고요.아버지가 양봉관련 사업을 하고 계셔서, 현재 예전보다는 많은 인원이 줄어들고 있습니다.벌의 수가 줄기도 하고, 관리면에서 어렵기도 하고요.다양한 정보를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