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김선도 전문가
광주신가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골수 이식이라는 것이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골수는 혈액의 여러 성분을 생산하는 뼈의 안쪽에 존재하는 조직입니다. 골수를 침범하는 질병에 걸리게 되면 골수는 비정상적인 혈액세포를 생성해내 악영향을 주게됩니다. 이러한 경우 비정상적인 세포를 약물 치료 한 후 골수기증자로부터 골수를 채취하여 환자에게 주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치료방법을 골수이식이라고 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코피를 가끔 흘립니다. 건강에 적신호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일단은 코 점막의 모세혈관이 너무 약하지 않은지 검사해볼 필요가 있겠고 전기소작기등을 이용해 치료해볼 수 있습니다.
안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렌즈가 눈 뒤로 들어갈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결막은 안쪽으로 막혀있는 주머니 형태라 이물질이 눈 뒤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이물질이 시야에서 사라졌다 할지라도 눈꺼풀에 가려져 있거나 이미 빠져버린 것일 뿐, 이물질이 눈 뒤로 넘어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렌즈 외에도 눈에 뭔가 들어간 것 같을 때는 빼내기 위해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바람을 부는 행위는 되도록 지양하고, 흐르는 물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눈 속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깨끗한 손으로 눈꺼풀을 살짝 당겨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식곤증에 도움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식곤증이 심하다면 당뇨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또한 가벼운 산책 및 스트레칭을 하면 식곤증을 예방해볼 수 있습니다.
성형외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윗입술 찢어진후 물집이 잡혔는데 낫고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입술 안에서 새살이 돋으면서 치유될것으로 보입니다.사진상으로는 염증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모자가 탈모를 유발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모자가 너무 눌리거나 위생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탈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두피를 너무 압박하지 않는 청결한 모자 착용이 좋습니다.
안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눈꼽이 자주 생기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평소보다 눈곱이 자주 끼거나 간지럽다면 안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눈곱은 눈에서 나오는 유분이나 눈물이 마르면서 생기는 분비물로 보통 안구의 염증이나 자극으로 많아진 눈물이 눈물길이 막혀 제대로 배출이 되지 못하고 고이면서 생기게 됩니다.
피부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입술이 계속 트는 원인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입술의 보습을 위해 보습제를 잘 발라주는 것이 좋겠습니다.일부러 뜯어버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안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시력교정술 후 인공눈물 꼭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시력 교정술을 하고난 이후로는 안구건조증 증상이 일시적이나마 생길 수 있기 때문이 인공눈물로 관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다한증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식습관으로 다한증을 개선하기는 어렵습니다.다한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신 질환의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전신 질환으로 인한 다한증일 경우 전신 질환을 치료하면 다한증이 함께 호전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톡스 주사를 이용하여 주사 부위의 땀 분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다한증이 정서적 요인과 현저하게 관련되는 경우 진정제, 신경안정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수술적 치료로는 특정 부위의 피부를 제거하거나 병변 부위의 교감 신경을 절제하여 과도한 땀 분비를 억제합니다. 하지만 발한이 완전히 중지되거나 다른 부위에 발한이 증가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적 치료는 손과 겨드랑이 다한증이 심한 환자에 국한하여 사용합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