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김선도 전문가
광주신가병원
안과
안과 이미지
Q.  눈이 계속 충혈됐다가 괜찮아져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일시적인 충혈로 눈 건강이 크게 나빠지지는 않지만 너무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안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과
안과 이미지
Q.  요즘 핸으폰 사용이 많아서 그런지 눈도 피곤하고 시력이 떨어지는거 같아요. 눈 건강에 좋은 음식이나 운동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눈 건강을 위한 눈 운동 – 1. 눈 깜빡이기!컴퓨터 앞에서 일하는 경우, 눈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운동이 눈 깜박이기이다. “하지만 나는 이미 깜빡였는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사실이지만 충분히 자주 깜빡이지 않았을 것이다.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려면 큰 집중력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눈을 깜빡이지 않게 된다. 이는 다른 환경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을 행동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아주 빠르게 눈을 깜빡인다: 일을 하다가 잠시 휴식 시간을 가질 때, 눈을 매우 빠르게 깜빡이도록 노력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눈을 부드럽게 해줄 것이다. 이 운동을 하면 어떤 인공눈물도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천천히 눈을 깜빡인다: 이 운동은 눈의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눈을 감고 몇 초 동안 그대로 있는다. 그다음 눈을 뜬다. 이 동작을 반복한다.2. 눈 압박하기어렸을 때 눈을 꾹 누르고 별을 보던 장난들을 기억하는가?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는 것이 눈에도 좋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동작은 눈의 긴장을 풀어주고 직장에서 힘들게 일을 했던 고된 하루 후에 시력을 이완시켜준다.이 동작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여기에 눈을 아주 이완시키고 눈에 띄게 긴장을 풀어주는 느낌을 주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눈을 손바닥으로 누른다: 부드러운 압력으로 손바닥을 눈 위에 둔다. 손을 비벼서 먼저 따뜻하게 해두는 것을 추천하며, 손을 최대 2분 동안 눈 위에 올려둔다.손가락으로 누른다: 어렸을 때처럼, 손가락을 눈 위에 올려두고 몇 초간 부드럽게 누른다. 그런 다음 휴식을 취하고 다시 한다.3. 눈을 움직인다움직이는 것은 눈의 건강에 아주 효과적인 또 다른 운동이다. 눈은 언제나 움직이고 있지만, 특정한 결과를 얻기 원한다면, 특정한 방식으로 눈을 움직여야 한다.아래 방식을 통해 눈에서 긴장을 풀고 잠시 쉬도록 할 수 있다.위와 아래: 이것은 첫 번째 움직임이며, 위로 보고 나서 내려다본다. 이 동작이 약간 어려울 수 있으므로, 천천히 하도록 한다.좌우: 두 번째 운동은 비슷하지만 처음부터 오른쪽을 보고 왼쪽을 본다.광고이 운동을 할 때, 힘으로 눈을 움직이는 것처럼 약간의 압력을 느낄 수도 있다. 이것은 좋은 현상이다. 긴장감을 풀어주고 운동을 마칠 때 눈이 편안해지는 느낌이 크게 느껴질 것이다.4.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보기눈 건강 운동의 마지막 운동은 눈을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근시 또는 원시를 가진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눈이 직장에서 크게 혹사당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러한 증상을 가진 사람들에게 권장된다.멀리 초점 맞추기: 멀리 있는 물건, 사람 또는 어떤 것이든 쳐다본다. 그다음 다시 처음 시작한 곳으로 집중한다.가까운 곳에 초점 맞추기: 딱히 어느 것에도 집중하지 않고 주위에 있는 것들을 쳐다본다. 그다음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먼지 한 점, 작은 개미, 또는 손톱에 있는 피부의 작은 부분을 말한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탈모를 예방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탈모증은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맞게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모 예방에 좋은 특별한 음식은 없습니다. 이들 음식으로 탈모를 치료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도 없습니다. 다만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는 균형 잡힌 식단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미국의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머리 증상은 동맥경화와 같은 심장 질환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지나친 동물성 지방 섭취를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피의 혈액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서 두피 마사지를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것도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과도한 경우 오히려 탈모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주의사항① 머리카락이 젖은 상태에서 머리 손질을 심하게 하면 머리카락 손상을 유발합니다.② 잦은 펌이나 염색, 탈색과 같이 머리카락에 손상을 주는 것은 가능한 피해야 합니다.③ 적절한 샴푸와 린스를 하면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깨끗한 물로 충분히 헹구어 주어야 합니다.④ 비듬이 심하거나 지루성 피부염 등으로 인해 염증이 심하다면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⑤ 심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술, 담배, 편식, 급격한 다이어트와 체중 감소, 수술, 빈혈, 갑상선 질환 등에 의해서도 탈모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탈모증의 자가 진단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모발 가볍게 당기기모발 8~10개 정도를 손가락으로 잡고 가볍게 잡아당겨 보는 방법입니다. 정상 모발은 보통 1~2개만 빠집니다. 4개 이상 빠지는 경우는 탈모증일 가능성이 큽니다. ② 하루 탈모량 세기정상인의 하루 탈모량은 50~60개 정도입니다. 하루에 100개 이상 빠질 때는 탈모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루에 빠지는 모발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3~4일 동안 빠진 모발(머리 감을 때, 빗질할 때, 베개 등에 떨어진 머리카락)을 매일 매일 모아서 각각의 봉투에 담아 모발의 수를 계산하면 됩니다. 머리를 감거나 빗질할 때 빠지는 모발도 포함해야 합니다. ③ 모발 관리심한 머리 손질, 펌, 염색과 탈색 등을 자주 하는지, 샴푸 후 충분히 헹구어 주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④ 가족력남성형 탈모증의 경우, 부모님이나 가까운 친척 중에 대머리가 있는지 확인해봅니다. ⑤ 약물 복용 여부경구 피임약, 헤파린, 큐마린, 비타민 A나 그 유도체 등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해봅니다. ⑥ 두피 피부 질환비듬, 건선, 지루성 피부염과 같이 두피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질환이 있는지 확인해봅니다. ⑦ 기타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급격한 다이어트와 체중 감소, 갑상선 질환 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머리가 자꾸 아프다는 아이 그냥 단순 두통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동반되는 다른 증상이 있다면 확인해보시고 보통은 신경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로나 완치후 미각이 안돌아오는것은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코로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미각상실은 대개 완치 후 2~3주 내에 회복됩니다. 전문가들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종합해서 볼 때,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미각이 완전히 상실되는 일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보통 상기도 감염 증상으로 코가 막히면서 미각이 상실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안과
안과 이미지
Q.  렌즈를 끼고 자면 정말 렌즈가 눈 뒤로 돌아가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렌즈가 눈 뒤로 넘어가서 영원히 빼내지 못하게 될 일은 없다. 애초에 렌즈는 눈 뒤로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눈은 이물질이 눈 뒤로 넘어갈 수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보통 흰자라고 하는 '공막'은 '결막'이라는 투명한 점막이 보호하고 있다. 결막은 검결막, 구결막, 원개결막으로 구성돼 있는데, 공막 앞부분 쪽에 있는 결막은 '구결막'(안구결막), 눈꺼풀 쪽에 있는 결막은 '검결막'(암검결막)이라고 한다. 그리고 원개결막이 구결막과 검결막을 연결해 준다. 즉, 결막은 안쪽으로 막혀있는 주머니 형태라 이물질이 눈 뒤로 넘어갈 수 없다. 아까까지만 해도 있던 이물질이 시야에서 사라졌다 할지라도 눈꺼풀에 가려져 있거나 이미 빠져버린 것일 뿐, 이물질이 눈 뒤로 넘어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렌즈 외에도 눈에 뭔가 들어간 것 같을 때는 빼내기 위해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바람을 부는 행위는 되도록 지양하고, 흐르는 물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눈 속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깨끗한 손으로 눈꺼풀을 살짝 당겨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골이가 너무 심합니다.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가까운 이비인후과에서 수면다원검사 받아보시고 양압기 사용 추천드립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변비도 가끔있고 설사도 가끔해요 걱정이예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가까운 내과 방문하시어 진료 및 상담 권유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체했을때 해결 방법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미음이나 죽 같이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영양과 전해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심한 구토나 설사로 탈수 증상이나 전해질 불균형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수액요법을 시행해야 합니다. 때로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 위산 억제제, 진경제 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체온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1. 유산소 & 근력운동꾸준한 운동은 기초체온을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그중에서도 체온이 낮아지는 아침에 30분간 걸으면 교감신경이 자극돼 체온이 0.7-1도 정도 올라간다고 합니다.또 근육은 우리 몸에서 열을 가장 많이 내므로, 근력을 키우면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2. 규칙적인 수면​사람의 체온은 뇌의 시상하부가 자율신경계를 자극하여 조절합니다.규칙적으로 잠을 자서 몸이 안정적인 상태가 되면, 자율신경계도 안정되어 체온 조절이 원활해진다고 합니다.3. 아침에 일어나서 따듯한 물 마시기​아침에 일어나서 따뜻한 물을 마시면 수분섭취는 물론 체온을 올리는데에도 도움을 줍니다.4. 반신욕​따뜻한 욕조에 매일 십분씩만 몸을 담구고 있으면 체온을 1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다만 고령자나 고혈압이 있는 분들은 주의를 하셔야합니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