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태극기에 있는 건곤감이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乾 하늘 건, 坤 땅 곤, 坎 구덩이 감, 離 떠날 이건은‘하늘’, 곤은‘땅’, 감은‘물’, 이는‘불’을 상징하는 태극기의 4괘를 말해요.건곤감이의 다른 의미:건(동쪽, 봄), 곤(서쪽, 여름), 감(북쪽, 겨울), 이(남쪽, 가을)
Q. 조선시대에도 여성 관직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지혜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품← 대비(어머니) → 왕비(며느리) → 적녀(공주) → 서녀(옹주) 순서 적용왕비(내 · 외명부를 관장하는 왕의 부인), 공주(외명부 왕의 적녀), 옹주(외명부 왕의 서녀) 정1품빈(내명부 후궁), 부부인(외명부 왕비의 모), 부부인(외명부 ○○대군의 아내)군부인(외명부 ○○군의 아내)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 남편의 품계를 따름) 종1품귀인(내명부 후궁), 봉보부인(외명부 왕의 유모)군부인(외명부 ○○대군의 적장자의 아내)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2품소의(내명부 후궁), 군주(외명부 세자의 적녀)현부인(외명부 세자의 아들의 아내, 대군의 적장손의 아내, 왕자군 적장자의 아내)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2품숙의(내명부 후궁), 양제(내명부 세자궁)현부인(외명부 세자 손자의 아내, 대군의 아들들과 맏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적장손의 아내)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3품소용(내명부 후궁), 현주(외명부 세자의 서녀)신부인 · 신인(세자의 증손의 아내, 대군의 손자의 아내, 왕자군의 아들과 맏증손의 아내)숙부인 · 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3품숙용(내명부 후궁), 양원(내명부 세자궁)신인(외명부 대군의 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손자의 아내)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4품소원(내명부 후궁)혜인(왕자군의 증손의 아내)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4품숙원(내명부 후궁), 승휘(내명부 세자궁)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5품상궁 · 상의(내명부 궁관)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5품상복 · 상식(내명부 궁관), 소훈(내명부 세자궁)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6품상침 · 상공(내명부 궁관)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6품상정 · 상기(내명부 궁관), 수규 · 수칙(내명부 세자궁 궁관)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7품전빈 · 전의 · 전선(내명부 나인)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7품전설 · 전제 · 전언(내명부 나인), 장찬 · 장정(내명부 세자궁 나인)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8품전찬 · 전식 · 전약(내명부 나인)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8품전등 · 전채 · 전정(내명부 나인), 장서 · 장봉(내명부 세자궁 나인)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9품주궁 · 주상 · 주각(내명부 무희)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9품주변치 · 주치 · 주우 · 주변궁(내명부 무희), 장장 · 장식 · 장의(내명부 세자궁 나인)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