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멀티전기콘센트를 사용하면 위험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멀티콘센트 마다 허용전력이 다 다른편인데 이 최대 허용전력을 넘도록 사용하면 화재의 위험이 존재합니다.각 가전기구마다 사용하는 전력량이 존재하는데 이 전력량의 합이 허용전력을 넘지 않도록 구성해야합니다.그리고 최대 허용전력을 넘지 않아도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데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있을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쓰레기소각장 근처에 발전소를 짓던대 어떤걸이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말씀하시는 발전소는 열병합 발전소로 생각됩니다. 한국의 열병합 발전소는 대부분 쓰레기 소각도 겸하고 있습니다. 목동의 열병합발전소가 그 예로, 지역 쓰레기를 모두 모아 다이옥신 등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독성물질이 생기지 못하는 700°C 이상으로 소각합니다. 태워진 재는 원래의 쓰레기 부피보다 매우 작아져서 매립지 효율을 높일수 있고 소각하면서 생성된 전기와 온수는 열이 차폐된 특수 파이프를 통해 지역에 공급하는데, 인근지역의 아파트나 공공시설에 온수를 싸게 공급해 난방도 저렴하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발생하면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시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북태평양 남서부에서 발생하여 동북 아시아 내륙으로 불어닥치는 열대성 저기압을 말해요. 태풍에 이름을 붙인 것은 1953년부터예요. 괌에 있는 미국 태풍 합동 경보 센터에서 태풍의 이름을 알파벳 순서로 정해 놓고 발생 순서에 따라 하나씩 차례로 썼어요. 1987년까지는 태풍에 여자의 이름을 붙였어요. 그 다음에는 남자 이름과 여자 이름을 번갈아 썼지요.2000년부터는 아시아 태풍 위원회에 속한 14개 나라가 각각 10개씩 낸 이름을 번갈아 쓰고 있어요. 아시아 각 나라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지요. 우리나라는 개미, 나리, 수달, 너구리, 메기, 장미, 고니, 제비, 나비, 노루 등의 태풍 이름을 냈고, 북한에서도 도라지, 버들, 갈매기, 기러기 등 10개의 한글 이름을 냈어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정격전압(110v/220v) 외 Hz는 어떤 역활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Hz는 교류 AC를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간에 따라 방향/세기가 변하는 전류이기 때문에 1초에 몇번 방향이 바뀌는지 나타내는 주파수가 있습니다. 교류는 변압기를 이용해서 전압을 높이거나 낮게 컨트롤이 가능하여 먼 거리까지 공급하기 편리합니다.나라마다 교류 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발전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초기 전기 발전기로 시설을 건설하면서 60Hz 발전기가 들어와 사용되면서 유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다른 주파수간 사용자 체감은 어렵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오는날 번개가 치고 뒤이어 천둥소리가 나는데 이 원리는 몬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그 원리는 간단합니다. 빛이 소리보다 빠르기 때문입니다.천둥은 번개로 인해 주변 공기가 압축되었다가 다시 팽창하면서 나는 소리인데 번개에서 나타나는 빛은 1초에 약 30만km 이동하기에 멀리서도 금방 확인이 됩니다. 반면 소리는 1초에 340m 정도라서 먼저 번개가 반짝인 다음에 늦게 소리가 들리는 것입니다.​거리가 가까우면 번개가 친 다음 금방 소리가 들르며, 거리가 멀면 소리가 늦게 들리게 되고요.​그리고 아무리 큰 소리도 20~30km 이상은 전달되지 않기에 번개가 친 것은 보여도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