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냄새는 온도가 높을 때와 낮을 때 어떤 것이 더 잘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더울때 공기 속 분자들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에너지를 받아 진동이 빨라집니다.분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냄시 퍼지는 속도도 올라가게 됩니다.그리고 습도가 높을 수록 인간의 후각이 민감하기 때문에 심하게 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 속 높은 곳에서 기온이 낮기 때문에 얼음이 생기고 구름속에 높낮이에 따라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은 얼음 알갱이는 구름 속 물방울과 결합하면서 더 큰 얼음으로 성장하고 반복되면서 크기가 충분히 커지면 무거워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게 우박입니다.만약 얼음 크기가 작다면 떨어지면서 녹으면 비가 됩니다.
화학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염색 자주하면 모발이 가늘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색은 탈모의 원인이 되고 진행중인 탈모를 악화시킬 수있습니다.아무리 순한 염색약이라고 해도 염색의 원리가 단백질을 녹이면서 색을 입히는 것이기 때문에이렇게 반복되는 단백질 녹임은 머리가 가늘어지는 원인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잠수함 어뢰는 물속에서 어떻게 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어뢰도 다양한 방식의 추진 방식이 있는데자주 추진 - 스크루를 돌려 스스로 헤엄쳐 나가는 구조, 소음은 적지만 초기 속도가 느림압축 공기 - 압축공기로 쏘는 형식, 공기 터치는 굉음과 조준을 방해하는 거품이 일어남수압 발사 - 압축공기로 피스톤을 밀어 수압을 만들어 발사하는 형식화약식 - 어뢰를 화약 카트리지로 밀어냄말씀하신 건 화약식일 것 같은데 잠수함에서 발사 당시 화약을 터트리고 그 힘으로만 추진하는 방식입니다.(잠수함 밖으로 나왔을땐 이미 화학이 터진 뒤)
전기·전자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보온병에 숨겨진 과학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병 안쪽은 대게 스테인리스로 이중벽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중벽 사이에는 열을 전달할 공기나 물 분자가 없어 열의 이동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단열 효과가 발생하여 물에있는 열 에너지가 밖으로 표출될수없어 온도를 유지할수있습니다. 겨울에 패딩을 입으면 따뜻한 이유랑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무선 wifi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무선통신은 시간과 주파수 등의 한정된 자원에 전파를 발생시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걸 의미하는데말씀하신 것처럼 한 사람이 특정 시간과 주파수를 점유해서 사용중이면 다른 사람들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여러 사람들이 사용할 수있게 주파수도 여러개로 나눠서 쓰고 (와이파이 설정에서 세부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음), 시간적으로는 매우 짧게 나눠서 돌아가면서 사용합니다.단지, 사람이 체감하기 어려운 짧은 시간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느끼기엔 어렵습니다.
화학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겨울철에 사용하는 핫팩은 어떤 원리로 열을 발생시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핫팩에 들어있는 철과 산소가 만나면 산화반응이 일어나는데 산화철로 변하면서 열에너지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이 열때문에 손난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핫팩을 흔들어야하고 산소가 잘 통하기 위해서 부직포를 사용합니다.
화학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소변을 보고난 후에 몸이 떨리는 현상은 어떤 과학적으로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소변을 보면서 열을 빼앗기기 때문에 뇌에서 온도 유지를 위해 몸을 떨면서 열을 내도록 합니다. 추운 겨울에 몸을 덜덜 떠는 이유와 같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염화칼슘에 눈이 녹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이걸 도로에 뿌리면 눈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염화칼슘의 어는점은 영하 54도 이기 때문에 다시 얼기 어려워 제설에 유리합니다. 소금도 이용합니다. 염화칼슘의 부작용들이 있기 때문에 소금을 대체하자는 움직임도 있는데요. 염화칼슘과 마찬가지로 어는점을 낮춰 눈을 녹게 하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화학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재설작업 때 살포하는 염화칼슘은 어떤 원리로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녹는점이 772도, 끓는점이 1935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걸 도로에 뿌리면 눈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염화칼슘의 어는점은 영하 54도 이기 때문에 다시 얼기 어려워 제설에 사용됩니다. 소금도 이용합니다. 염화칼슘의 부작용들이 있기 때문에 소금을 대체하자는 움직임도 있는데요. 염화칼슘과 마찬가지로 어는점을 낮춰 눈을 녹게 하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