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계란 흰자는 액체인가요 고체인가요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흰자는 액체이고 수분90%에 단백질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그리고 아시는 것처럼 단백질에 열을 가하면 응고되면서 덩어리가 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지구의 공전속도는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한바퀴 도는데 1년의 시간이 걸리는데 시속 약 11만 km, 초당 30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움직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콜라에 멘토스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 표면에 있는 아라비아 고무가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는 반응이 있습니다.이걸 콜라에 넣으면 콜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고 콜라의 이산화탄소가 멘토스 표면에 달라붙어 거품이 되면서 폭발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제설재로 사용 되고있는 염화칼슘은 내리는 눈에 만 효과가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녹는점이 772도, 끓는점이 1935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걸 도로에 뿌리면 눈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음도 상관이 없습니다. 염화 칼슘 자체가 녹으면서 생기는 열이 얼음을 녹입니다.소금도 염화칼슘과 마찬가지로 어는점을 낮춰 눈을 녹게 하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다만 어는점이 조금 차이만 있습니다.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염화칼슘은 어떤 원리로 눈을 녹이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녹는점이 772도, 끓는점이 1935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걸 도로에 뿌리면 논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염화칼슘의 어는점은 영하 54도 이기 때문에 다시 얼기 어려워 제설에 유리합니다. 실제로 소금도 이용합니다. 염화칼슘의 부작용들이 있기 때문에 소금을 대체하자는 움직임도 있는데요. 염화칼슘과 마찬가지로 어는점을 낮춰 눈을 녹게 하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휴대폰 데이터가 터지지 않는곳을 자주 가게 되면 휴대폰 속도에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아뇨 상관없습니다.우리 휴대폰은 지역마다 존재하는 기지국 영역 내에서만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집에 있을때와 작업장에 있을때 접속하는 기지국이 다릅니다. 집에서 잘 안 터진다면 비행기모드를 on/off하여 다시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해보세요.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경유와 등유의 차이가 많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등유 경유 등, 원유를 끓이다보면 각 끓은점이 다르기 때문에 개별로 뽑아냅니다.(휘발유는 30~150도, 등유는 150~200도, 경유는 230~350도)이렇게 여러 가지로 뽑는 이유는 특성이 달라요. 휘발류는 증발하기 쉽고 인화성이 높은 반면, 경유는 저렴하고 효높은 열 효율등에 유리하거나? 합니다.경유 색소는 아마 이런 말 같은데 경유는 보통 다른 석유 제품과 혼합해서 열량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됐습니다. 이렇게 혼합하면서 색이 나타나는걸 이야기한 것같아요.
전기·전자
2022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전기과학에서 교류전기와 직류전기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두 사이의 차이는 시간에 따라 변화도가 있는지에 있습니다.직류는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세기의 양을 가지고 교류는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양을 가집니다.직류 - 항상 5V의 전압교류 - 0~5V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0V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반복 (sin파형 생각해보시면됨)
기계공학
2022년 12월 18일 작성 됨
Q.
비행기를 타면 귀가 먹먹해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높이 날아오르면 하늘은 지상보다는 기압이 낮아집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뜨거나 내릴 때 비행기 안의 공기압 변화에 맞춰서 ‘이관’이 ‘중이강’에 신선한 공기를 잘 공급하지 못하면 압력차이로 인해서 고막이 팽팽해지고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빠르게 오르내리는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나 높은 산에 올랐을 때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속력과 속도는 과학적으로 무엇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속력과 속도는 방향을 내포하고 있느냐의 차이입니다. 속력은 단순히 빠르기의 정도만 표현하고 있다면 속도는 빠르기의 정도와 방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