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도로 빙판길을 녹이는 모래나 염화칼슘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녹는점이 772도, 끓는점이 1935도로 매우 높습니다.이걸 도로에 뿌리면 논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이 염화칼슘의 어는점은 영하 54도 이기 때문에 다시 얼기 어려워 제설에 유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것은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형적인 특성에 영향이 있습니다. 남극은 대양으로 둘러싸인 대륙이고 북극은 대륙으로 둘러싸인 대양입니다.북극은 대부분 바다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바다가 얼어서 거대한 얼음덩어리입니다.남극은 땅위에 빙하가 덮은 상태입니다.이런 차이로 남극은 땅에서 열을 쉽게 방출하고 빙하가 태양열을 반사시켜 더 춥습니다.그에 반해 북극은 물로 이루어져 물이 육지보다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열을 오래 잡아둘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보면 하늘의 색깔은 왜 파란색으로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 나온 빛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부딪힘이 원인입니다.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 산소 등의 기체와 부딪치면 여러 색으로 분산되는데 이때 파란색이라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 하늘로 보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물컵에 차가운 물을 넣으면 컵외부에 물방울이 왜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중 수중기가 액화하면서 물방울이 생기는 원리입니다.공기중 내포한 수중기는 차가운 컵에 담긴 물 주변에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고 기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컵 표면에 뿌옇게 변해 있는 겁니다.
화학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헬륨 가스를 마시면 왜 목소리가 얇아지고 어린아이 목소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목소리는 성대의 떨림으로 생성됩니다. 이 떨림의 세기를 진동수라고 하는데 이 진동수는 성대를 통과하는 매질의 밀도에 따라 세기가 달라집니다.밀도가 낮으면 빠르게 움직이고, 밀도가 높으면 천천히 움직입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소리의 속도가 약 3배 빨라집니다. 속도가 빨라져 진동수가 높아지고 일시적으로 높은 목소리로 변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겨울에는 왜 다른 계절보다 정전기가 많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물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데이때 두 물체사이의 전자가 이동하면서 정전기가 발생합니다.그리고 정전기는 습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수소/산소로 이루어진 수중기는 주변에 전기 에너지를 갖는 입자를 중성의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물체사이의 마찰이 발생해도 전자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할 확률이 떨어집니다.
화학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콜라에 멘토스 넣으면 왜 폭발 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물리 반응으로 폭발하게 됩니다. 멘토스 표면에 있는 아라비아고무가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는 반응이 있는데이걸 콜라에 넣으면 콜라의 표면장력을 야고하시키고 콜라의 이산화탄소가 멘토스 표면에 달라붙어 거품이 되면서 폭발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물에서 비린내가 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어항의 물비린내는 여과력, 잘못된 환수, 먹이를 과하게 투여했던 걸 원인으로 잡고 있습니다.여과기에서 나오는 물이 훨씬 약해졌거나 이물질이 껴서 여과력이 떨어지는게 원인으로 볼 수 있고먹이를 많이 줘 수질 악화로 거품이 발생하거나 비린내가 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여름태풍의 원인은 무엇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태풍은 26도 이상의 태양열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여름에 많이 생깁니다.뜨거워진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다 공기중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게 됩니다. 이런 물방울이 모여 구름이 되고 점점 커지며 적란운이 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면서 열을 방충합니다. 이 열로 인해 공기가 뜨거워지고 다시 위로 올라가서 물방울이 되고 다시 열을 발생하는 반복이 되면서 상승기류가 모여 적란운의 힘이 커지게 되어 자전으로 인한 효과로 회전이 되면서 태풍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1일 작성 됨
Q.
겨울에 태풍이 오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태양열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다 공기중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게 됩니다. 이런 물방울이 모여 구름이 되고 점점 커지며 적란운이 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면서 열을 방충합니다. 이 열로 인해 공기가 뜨거워지고 다시 위로 올라가서 물방울이 되고 다시 열을 발생하는 반복이 되면서 상승기류가 모여 적란운의 힘이 커지게 되어 자전으로 인한 효과로 회전이 되면서 태풍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지기 위한 태양열이 26도 이상은 되어야하기 때문에 겨울보다는 여름에 많이 생깁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