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2년 12월 11일 작성 됨
Q.
바코드는 어떠한 과학적 원리가 담겨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혹시 모스부호를 아시나요? 신호와 신호사이의 간격과 알파벳을 1:1로 매칭시켜 암호화시키는 방식인데 바코드도 비슷합니다. 말씀하신것과 살짝 비슷한데 막대기 사이의 띄어진 공간 길이를 이용하여 숫자와 매칭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2월 11일 작성 됨
Q.
은행나무는 야생번식이 힘들다고해서 멸종위기종인데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앞으로 은행나무가 멸종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은행나무의 생물분류학적으로 하나의 종만 남아있고 나머지는 전부 멸종했습니다.말씀하신것처럼 야생번식이 어렵기 때문인데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우며 악취와 독성이 있어동물들이 꺼려하기 때문에 종자를 퍼뜨리기 어렵습니다.그래서 인간이 유일하게 종자를 퍼뜨려서 심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외면하는 순간 멸종의 길로 사라질것입니다.
물리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낙하산도 방향을 조절할 수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낙하산은 공기저항을 이용해서 속력를 늦추게하는 방식인데 닿는 공기의 면적을 넓혀 공기의 저항을 크게하고 있습니다.그리고 방향을 바꾸기 위해 낙하산 구명을 이용하는데 뒤쪽 구명을 열먼 거기서 공기가 뿜어져 나와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양쪽 구멍중 한쪽의 구멍을 막으면 한쪽으로만 공기나 나오기 때문에 회전력이 생기게 됩니다.그래서 오른쪽 구멍을 막으면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왼쪽을 막으면 왼쪽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가스레인지 불 색깔은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빨강, 주황색 : 600~800℃노란색 : 800~1300℃백색 : 1300~1500℃파란 : 1500℃~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원유에서 휘발유, 경유 등 뽑아내는 방법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원유를 끓이다보면 각 끓은점이 다르기 때문에 개별로 뽑아낼수가 있습니다.각 온도에서 기화가 일어나면 이 기체를 수집하여 다시 액화를 시켜 추출하고 있습니다.휘발유는 30~150도 등유는 150~200도 경유는 230~350도 원유의 온도가 30~150일때는 휘발유가 기화되므로 휘발류가 추출되어 나오는 관을 열어 추출을 하합니다.나머지 관은 닫혀있습니다. 이렇게 온도에 따라 관을 열고 닫으며 원하는 액체를 뽑아냅니다.
화학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차가운걸 급하게 먹으면 머리가 띵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의 온도보다 낮은 물질을 섭취할 경우 신체에 자극이 생기고 뇌는 몸을 보호하기 위해 혈관을 좁히고따뜻한 피를 뇌로 더 많이 보냅니다. 이러면서 뇌 혈류의 양이 급격히 변하면서 두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별은 추운 날에 더 반짝거리는거 같죠?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어 지구에서 바라보는 별자리의 위치는 달라집니다.그리고 날씨가 차고 건조할수록 대기가 투명해지기 때문에 겨울에 별을 보기 더 좋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여름마다 한반도에 태풍이 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태양열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다 공기중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게 됩니다.이런 물방울이 모여 구름이 되고 점점 커지며 적란운이 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면서 열을 방충합니다. 이 열로 인해 공기가 뜨거워지고 다시 위로 올라가서 물방울이 되고 다시 열을 발생하는 반복이 되면서상승기류가 모여 적란운의 힘이 커지게 되어 자전으로 인한 효과로 회전이 되면서 태풍으로 발전하게 됩니다.이렇게 만들어지기 위한 태양열이 26도 이상은 되어야하기 때문에 여름에 많이 생깁니다.
화학
2022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소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소변은 콩팥에서 생성되는데 혈액 여과 및 요세관의 재흡부/분비의 반복으로 생성됩니다.토리/토리주머니/요세관으로 이어지는 네프론을 기본단위로 만들어지며 콩판 혈류의 1/5 은 토리에서 여과되어 원뇨가 되고 보우만주머니를 거쳐 요세관으로 들어가, 요세관에서 각 물질의 재흡수나 분비를 받아 소변이 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백색소음이란건 정말 효과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백색소음은 비교적 규칙적이며 귀에 쉽게 익숙해지고 주변 소음을 덮어주기 때문에 방해가 덜된다고 느낍니다.실제로 집중력이 48% 기억력이 10%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