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화학
화학 이미지
Q.  얼음이 소금과 만나면 온도가 더 내려간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이나 염화칼슘을 뿌리면 눈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로 주변의 눈을 녹이는 원리입니다.그리고 소금/염화칼슘의 어는점이 알고 계신것처럼 낮기 때문에 녹은 염화칼슘이 얼기는 어렵구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칠판 긁는 소리는 왜 거부감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본능적으로 아이 울음소리나 비명소리와 유사한 주파수라서, 그 원인을 해결하도록 움직이는 것이 종의 번식에 유리하도록 진화한 결과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인공 눈은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눈은 물방울을 공중에 뿌려서 얼리는 방식입니다. 물방울을 아주 작게 만들어 높은 압력으로 뿌려주면공기중으로 날아간 작은 물방울들은 영하의 날씨 때문에 얼음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혹은 차가운 바람을 이용하여 얼음으로 만들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불꽃의 색은 온도에 따라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온도가 높아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빨강, 주황색 : 600~800℃ 노란색 : 800~1300℃ 백색 : 1300~1500℃ 파란 : 1500℃~ 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불꽃의 색상별 온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 빨강, 주황색 : 600~800℃ 노란색 : 800~1300℃ 백색 : 1300~1500℃ 파란 : 1500℃~ 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용접등에 사용되는 온도는 약 3000~6000도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녹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는점을 낮출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중에 눈이 어는 온도는 0도인데 염화칼슘이나 소금을 뿌리면 어는점이 -20도~50도 수준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훨씬 더 추워지지 않는 이상 눈이 얼지 않게 됩니다.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제설제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망원경은 어떻게 그 멀리있는 곳까지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볼록 렌즈를 이용해서 망원경이 만들어 집니다. 물체에서 나오는 빛을 볼록렌즈를 거쳐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많은 빛을 얻기위해 대물 렌즈의 지름이 커지고 초점거리를 길게합니다.망원경의 성능은 빛의 회절 현상을 극복하는가에 달려있습니다. 이를 분해능이라고 하는데아무리 배율이 높더라도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희미하게 보입니다.(두점을 분간할 수 있는 정도)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주머니 난로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아세트산나트륨을 이용한 액체 난로를 말씀하신것 같습니다.고체 상태의 아세트산나트륨에 물을 넣고 가열하면 물에 녹는 과정에서 가열한 열을 흡수하게 되는데이때 과포화된 아세트산 나트륨은 외부 작은 충격에도 얼음이 얼듯 순간적으로 딱딱한 고체로 변하게 되면서가지고 있던 잠열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한 손난로이빈다.그래서 그 쇠단추는 아세트산 나트륨에 충격을 주는 용도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드라이 아이스는 어떤 과학적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 아이스는 기체인 이산화 탄소를 특수한 방법으로 고체로 만든겁니다. 그래서 고체가 정답이구요.기체인 이산화 탄소에 높은 압력을 주면 이산화 탄소가 액체로 변하고, 다시 작은 구명을 통해 분사하면서급속하게 압력을 낮추게 되면, 눈과 같은 결정의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런 반복을 통해 고체 이산화 탄소인 드라이 아이스가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눈올때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이온이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인데 녹는점이 772도, 끓는점이 1935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걸 도로에 뿌리면 논의 습기를 흡수하여 녹게 되는데 녹으면서 방출하는 열이 주변의 눈을 녹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염화칼슘의 어는점은 영하 54도 이기 때문에 다시 얼기 어려워 제설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이야기하신것처럼 부식성이 강해 자동차에 손상을 주거나 공기중 수분을 흡수해 질척거리는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소금을 이용하는 혼합방식도 나오고 있습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