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전문가입니다.
진정현 전문가
삼성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스마트폰의 지문 인식 기능은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다양한 방식으로 지문을 읽곤 하는데 고전적인 방식으로는 광학식 지문인식이 있습니다.빛을 이용해 사진을 찍듯이 지문을 찍어 등록된 지문과 대조하는 방식입니다.그리고 정전용량식 지문인식은 초소형 배터리가 촘촘히 박힌 센서를 이용하여 스캐너같은 역할을 합니다.마지막으로 초음파 지문인식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눈이 내리기 위한 온도는 몇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의 온도가 고도가 올라가면서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데 0도에서 영하 40도 사이의 얼음결정인 빙정과 과냉각 물방울 들이 존재하며 과냉각 물방울의 수분이 빙정으로 이동하며 빙정과 결합하여 크기가 커지며 눈이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엘레베이터가 추락할 때 마지막 충격때 뛰면 살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애초에 떨어지는 엘레베이터안에서 뛰는것조차 쉽지 않지만 뛴다고 해도 땅에 닿기 직전에 뛰면 부상의 위험이 있고 너무 빨리 뛰면 천장에 부딪칠 위험이 있어 쉽지 않습니다.엘레베이터에 안전장치로 완충기/출인문 안전장치/조속기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날씨가 추워도 바닷물이 잘 얼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은 깨끗하기만 하면 마실 수 있는 민물과 달리 물에 염분(소금)이 녹아 있어 어는점이 낮아져 쉽게 얼지 않습니다. 그리고 순수한 물은 비열과 잠열이 크다는 특징이 있는데 섭씨 4도까지는 밀도가 증가하고 이후에는 밀도가 감소됩니다.그래서 물의 온도가 점점 떨어지면 밀도가 무거워지며 가벼운 물이 올라오고 무거운 물은 가라 앉으려는 성질 때문에 순환이 이루어져 물의 온도 전체가 낮아질때까지 반복됩니다. 이 현상과 염분이 만나 극대화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하품을 하면 눈물이 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하품을 할 때 입을 크게 벌리고 아래턱 근육을 사용하면서 턱 사이의 근육이 늘어나면서 눈 옆쪽에 위치한 '누낭'이라는 눈물주머니가 눌리게 되고, 그 안에 있던 눈물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입을 벌리지 않아도 안면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낭을 자극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5G데이터 LTE쓰던시절이랑 크게 체감이 안나는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체감할 정도의 컨텐츠가 없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주요 컨텐츠는 아직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부분이고 이는 LTE에서도 충분하기 때문에 5G를 쓰나 LTE를 쓰나 체감이 어렵습니다(물론 5G가 더 빠르지만 사람이 체감하기엔 큰 차이가 없다는 의미)
토목공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겨을의 낮은 9시간 여름의 낮은 14시간으로 약 5시간 차이가 발생하는데이는 자전운동과 공전운동에 원인이 있습니다.지구가 태양 주의를 도는 공전 운동은 태양의 남중고도 변화와 계절의 변화를 가져옵니다.(자전축 기준으로 태양의 이동거리 변화)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비가 오면 미세먼지가 없어지나요 아님 그상태로 유지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면 먼지는 가라앉고 빗물에 떠내려가 공기가 좋은 상태로 변하게 되는걸 알 수 있습니다.
화학공학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염색약의 원리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은 겉표면의 모표피와 내부의 모수질/모피질이 있습니다.염색은 모피질을 물들이는 것이고 염색약이 모표피를뚫고 들어가서 모피질에 염색하는 역할입니다.흔히 2개의 염색제를 혼합해서 염색약을 만드는걸 본적이 있을겁니다.제1염모제는 모표피를 들어내고 모피질에 색소를 침투시키며 제2염모제는 제1염모제와 반응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6일 작성 됨
Q.
파도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걸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바다는 매우 넓고 바람이 불어 파도가 생기고 이 위치에너지가 내려오면서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 반복을 통해 전전 커지며 파도가 됩니다.강/호수도 마찬가지인데 이 에너지가 변환되며 커지기 전에 육지를 만나면서 에너지가 해소되기 때문에 파도가 생기기 어렵습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