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질병은 보험회사에 고지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아래 모 보험회사의 보험 가입 전 알릴의무 사항의 1번 항목을 보시면 의사로부터 진찰 혹은 검사를 통하여 질병진단, 질병의심소견, 치료, 입원, 수술, 투약 등을 받은 사항이 있으면 고지를 해야 하며 여기에는 "건강검진"이 포함됩니다.그렇기 때문에 보험을 가입하고 싶으시다면 건강검진을 실행하시기 전에 먼저 가입하시는게 안전하게 가입하시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상담예약을 하시거나 댓글을 남겨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바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Q. 실비 보험은 평생을 가지고 가야 하는 보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실손의료보험은 거의 대부분의 대한민국 국민들이 보유하고 있으며 빠르면 10대 이전에, 늦어도 20대~30대에는 가입하시는 것 같습니다.이때 실손보험을 가입하게 된다면 월 보험료는 1만원 내외인데 비해서 보장범위는 온 몸에 해당하고, 보장한도 또한 입원 시 5,000만원까지 되는 말도 안되게 좋은 보험이죠.하지만 나이가 들고, 실손보험이 갱신되면서 보험료는 점점 올라가게 될 것입니다.60대 이후에는 실손보험 하나를 유지하는데 10만원~20만원의 보험료가 들 수도 있죠.경제활동이 왕성한 시기라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은퇴를 앞둔 시기에 이 금액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저는 실손보험과 비갱신형 건강보험을 함께 가져가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만약 실손보험만 있다면 나중에 보험료가 부담스럽게 상승해도 울며 겨자먹기로 유지해야 하지만,일찍부터 실손보험과 함께 비갱신형 정액보험을 준비하신다면 실손보험료가 부담되어 해지를 하게 되더라도, 예전에 납입 완료해놓은 보험이 있기 때문에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상담예약을 하시거나 댓글을 남겨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바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