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전문가입니다.
채지훈 전문가
Kwangchonkim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여성가족부 같은 경우에는 주로 어떤 정책을 하는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여성과가족,청소년에 중심을 둔 행정기관입니다.성평등과가족의 복지,다문화가정에.대한 지원등의 업무를 맡아 하고 요즘 저출산문제등도 이 행정기관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바이보너스 증정금 어떻게 받아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바이비트거래소의 증정금을 밀씀하시는것 같습니다.가입일로부터 14일이내에 조건이 충족되어야하고 선물거래만 인정하고 있ㅂ니다ㅡ그에따라 거래량에 따른 증정금이 지금되고 앱에서나 웹이나 claim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미국이 달러를 무한정 찍어내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이론상은 무한정발행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국제사회에서의 미국의 신뢰도 하락과 기축통화의 지위를 잃어버릴수도 있게 될것입니다.덜러가치하락으로 미국내의 인플레이션이 심하여 물가가 요동칠것이고 패권국가의 미국은 이제 없어지게 될것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여전히 의대 관련 학과들이 인기가 높은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졸업후에 높은 고수익을 보장받으면서 일할수있고 개원하면 명예와 부도 누릴수있기 때문이겠지요. 나라의 정책을 미래를 위해 펼쳐야하는데 사회적지위가 높은 의대쪽으로 가서 편하게 살려는 동기가 더 부여되는 상황이라 나라의 미래가 걱정입니다ㅡ중국에서는 공대진학률이 높다는데 미래세대의 출산률도 적고 정책을 다시 마련해야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가상화폐로 결제를 할 수 있는 곳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오프라인매장에서 신고된곳이 100여개매장이지만 실제사용이 이뤄지는 곳은 이보다더 적을듯합니다.비자카드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usdt/c등의 지원이 가능할것같고 일부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매장은 몇군데 있겠지만 어직 국내소비자들에게는 낯선만큼 미미한 수준이겠네요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한국은 왜 몇십년동안 고질적으로 일본과의 무역거래에서 적자가 누적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산업구조에서의 기술우위가 가져온 불균형같습니다.일본은 첨단,화학,정밀기계분야에서는 세계최고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있어 이분야에서 한국이 따라가기가 아직은 쉽지않은일이고 대부분의 핵심소재,제조장비는 일본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라 엔화약세까지 찾아오면 더욱 어려운일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엘지 디스플레이 OLED 투자 기술 패권 복원 되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중국경쟁사들에의한 가격경쟁보다는 프리미엄전략으로 승부를 보아야 시장의 패권을 가져올수있지 않을까합니다.기술적인 면은 이미가지고있기 때문에 생산의 효율화와 대응등 차별화를 주어 경쟁사와의 출혈경쟁을 피하면 다시 명성을 회복할수있지 않을까 합니다.
경제정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2025년 9월부터 시행되는 해외직구 통관 규정 변경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공식적으로 발표된바는 없는것 같습니다.다만 2026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이고 제도개편이 준비중에 있는것으로 압니다.개인통관고유번혹가 1년연장될것같고부정신고나 무신고는 세율이 20%씩 늘어날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어제 8월 14일 PPI 어떻게 나왔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생산자물가지수라고해서 ppi발표후 빠르게 하락세를 맞이했는데요ppi를 토대로 금리동결이나 추가인상가능성이 커짐으로 위험자산인 암호화폐가 영향을 받은것같습니다.선물롱포지션이 대량청산되면서 공포심리가 더해진것같습니다. ppi가 시장의 예상을 크게 뛰어넘었기 때문에 더욱그러한 원인도 되구요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미국의 금리인하, 우리나라도 따라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정책을 따라갈필요는 없습니다.금리차이가 크면 지금이 빠저나갈우려가있고 이로인해 비슷하게 유지해나가려고 하는것일뿐입니다.내수경제가 약한 한국은 수출주도형 산업구조이기에 금리차이에 신경이 더할수밖에는 없는것입니다.참고는 하고 그 상황에 따라 금리를 조절하는 게 현재의 한은의 정책입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