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우리나라는 여전히 의대 관련 학과들이 인기가 높은 것 같네요.

25학년도 수시모집 결과에서 1등급 학생들 90%이상이 의대 관련 학과로 지원을 했다고 하는군요..

여전히 의사라는 직업에 대한 로망이 있는 것 같네요..

좀 더 다양한 분야에 진출을 하면 좋을 텐데..

아직까지 사회적인 인식으로 의대 관련 학과들이 인기가 높은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여전히 의사 직업은 안정성, 고소득,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아 선호도가 높습니다. 한국 사회는 전문직에 대한 기대치가 크고 특히 의료는 경기 불황에도 수요가 지속되는 분양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여전히 의대 관련 학과들이 인기가 높은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쉽게도 한국은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의

    가장 선호도 높은 전공이 의대입니다.

    바로 돈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의대 관련 학과가 인기 있는 이유는 안정된 직업, 높은 소득, 사회적 지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큽니다. 다양한 분야 진출이 어려운 건 사회 및 경제적 불확실성과 직업 가치의 편중된 인식 때문이며, 성공 기준이 주로 의료계로 한정되는 문화적 영향도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졸업후에 높은 고수익을 보장받으면서 일할수있고 개원하면 명예와 부도 누릴수있기 때문이겠지요. 나라의 정책을 미래를 위해 펼쳐야하는데 사회적지위가 높은 의대쪽으로 가서 편하게 살려는 동기가 더 부여되는 상황이라 나라의 미래가 걱정입니다ㅡ중국에서는 공대진학률이 높다는데 미래세대의 출산률도 적고 정책을 다시 마련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의대 쏠림 현상은 예전부터 계속 얘기되던 주제인데 최근 들어 더 심해진 느낌입니다. 안정적인 직업과 높은 보상이 결합된 직업이라 부모 세대의 기대도 크고 학생들 스스로도 미래를 안전하게 보장받는 길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사회적으로 다른 분야의 가치가 덜 인정받는 분위기도 무시 못할 요소라 생각됩니다. 새로운 산업이나 기술 직종이 커지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의대만큼 확실한 길로 여겨지지 않는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의사라는게 사회적 지위도 있지만 의대가서 피부과 성형외과 개원하면 돈이 된다는 인식이 큰게 가장 큰 이유같기는 합니다 요즘 피부과 성형외과 강남에서 하면 우리나라 사람 뿐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오니 돈을 쓸어모으죠

    의대가 인기가 많은게 의사가 되는게 돈버는 길이다 라는 인식이 커진게 중요한 이유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의대에 관련된 진로 등에 더 많은 인기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최근의 kbs의 다큐에서 중국에서는 공대에 관한 인기가 많았다고 했찌만, 한국에서는 공대보다는 결국 의료와 관련된 것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보기 때문에 이러한 인기나 관심도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공대는 내가 취업을 해서 급여를 받는 것이라면 의대의 경우는 상황에 따라 본인이 병원을 만들 수 있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의사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대우받는 직업입니다.

    사회적 인식이 의사에 대한 로망이나 출세에 대한 아이콘으로 자리잡고 있어 이러한 편견이 의사 선호도를 높히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회적 지위, 부 등을 고려했을 때, 아직 인기가 많은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또, 다른 직업에 비해서 가족이나 지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강해

    더욱 다른 전문직에 비해 인기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또, 아무래도 고령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요즘 시기에 맞춰 더욱이 인기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국내에서는 공대출신들이 미국의 월가처럼 엄청난 성공을 거둔 사례가 이제는 보기도 힘들고 몇십억씩 연봉을 받는다거나 사회적으로 우대한다거나 하는것을 보기가 힘들며 오히려 국내에서는 공대출신들이 찬밥에다가 오히려 중국이나 미국으로 가는사례가 많고 외국의 기술자가 우리나라에서 찬밥대우로 결국 이직한다거나 합니다 거기다가 이제는 AI시대로 이들이 수요도 준다고 하니 당연히 공대나 기술직으로 가는 사례가 매우 적은것입니다

    그런데 의사들을 보게되면 대기업임원처럼 전문의들은 대학병원이 아니더라도 준종합병원만 가더라도 몇천만원이상의 월급을 받게되니 아예 일반 근로직과 대우가 하늘과 땅차입니다 즉 이런 급여차이를 보게 되니 당연히 국내의 MZ세대들이나 10대들이 의대선호와 의사선호도가 높을 수 밖에 없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회적으로 큰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 의사이면서, 사회적으로도 인정을 받는 직업이기에 많은 인재들이 의대에 집중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가적으로 손해라고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