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B형간염 예방주사 꼭 맞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B형 간염은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의 성 접촉,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주사 바늘 등),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산모에게서 아기가 태어날 때 등 위와 같은 경로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지금은 아기 때 국가예방접종에 B형간염이 포함돼 있어, 젊은 연령에서의 B형간염의 빈도는 매우 낮지만, 아직까지 성인에서의 B형간염은 상대적으로 많습니다.그러므로 언제 어디에서 노출될지 모르는 B형간염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백신을 접종을 권장 합니다.혹시라도 다음과 같은 B형간염 고위험군이시라면, 접종 뿐만 아니라 접종 후 항체가 생겼는지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B형간염 만성 감염자의 가족, 수혈을 자주 받으셔야 하는 분, 혈액 투석을 받으시는 분, 후천성면역결핍증 및 기타 면역저하자, 의료기관 종사자, B형간염에 감염(HBsAg 양성자)된 사람과의 성접촉자 등이 해당됩니다.B형간염과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유치원생 여아가 자위행위를 해요. ㅠ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어린이집/유치원과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 최근에 동생이 생겨서 가족의 관심을 받으려 한다거나,감염에 의한 염증으로 가렵거나, 불편한 속옷이나 바지, 아이가 심심하거나 불안해 하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혹시라도 확인되는 원인(스트레스, 감염 등)이 있다면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또한 아이가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주시되, 공개된 장소나 밖에서는 하면 안되는 행동이란 것을 명확히 설명해주셔야 합니다.잘 알고계신 것처럼 다른 놀이로 관심을 돌리시고, 적극적으로 몸을 쓰는 신체 놀이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글로 설명 드리는 것은 쉽지만 직접 아이의 행동을 변화 시키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가족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이의 행동이 지속된다면, 어린이를 전문으로 진료하시는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과 상담해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유아의 자위행위에 대해 보호자 분들이 이해하시기 좋게 정리한 칼럼이니,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681
Q. 아기 이유식 언제쯤 부터 먹여야하나요 ?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영아의 이유식 시작 시기에 대해 궁금하신듯 합니다.아기의 개별적인 발달 및 영양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일반적으로 생후 5-6개월 즈음 이유식을 시작 합니다.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찍 이유식을 시작하면,오히려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에 거부감을 가질 수 있고,이유식을 4개월 전에 시작할 경우 음식 알레르기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참고하시면 육아에 도움이 될 만한 포스팅을 소개 드립니다.아기가 건강히 잘 자라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소아과의사아빠, '이유식은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기타 육아상담
Q. 예방접종을 하면 왜열이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발열은 예방접종 후 가장 흔한 이상반응 중 하나 입니다.예방접종은 외부의 물질을 몸으로 주입하는 과정이고,외부 물질에 대한 우리 몸의 면역반응을 유도하게 됩니다.발열은 우리 몸의 다양한 면역반응 중 하나로,접종 후 동반되는 면역반응의 일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예방접종 후 항상 열이 나는 것은 아니고,또 발열 여부가 예방접종의 효과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접종 후 발열은 보통 1-2일이면 자연히 좋아지지만,열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하면 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고,고열이 지속될 경우에는 다른 감염이 동반되지는 않았는지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Q. 아기가 코로나에 걸렸는데 후유증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가족의 코로나19 감염으로 많이 힘드실 듯 합니다.기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영유아가 코로나19에 감염되어도다른 고위험군(고령, 심혈관 기저질환자, 면역 저하자 등)에 비해중증으로의 진행되거나 후유증이 남을 확률은 낮습니다.고열 또는 기침·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지속되거나,고열로 인한 경련, 경구 섭취가 현저히 감소해 탈수가 되면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매우 드물지만 소아 중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된 뒤에,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MIS-C)이동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잘 회복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