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들 변비로 고생하는데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아이의 변비로 걱정이 되실 듯 합니다.배변을 힘들어하는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아이가 변 보는 것을 꺼리고 무서워하게 되고,대변이 마려워도 참게 되어 변비는 악화됩니다.평소에 어린이용 유산균을 복용해 보거나요거트 등의 발효 식품을 섭취해 볼 수 있지만,변비 치료의 기본은 충분한 수분과 식이섬유 섭취입니다.말씀하신 것과 같이 변 보는 것을 힘들어한다면변비 약을 복용을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변비로 인해 음식 섭취가 원활하지 않거나,체중 증가를 비롯한 아이의 성장이 더뎌지거나,잦은 복통, 혈변,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이 반복되면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아이가 잘 회복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성 조숙증 관련 질문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자녀의 성조숙증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여아의 성조숙증은 이차성징(주로 유방의 발달)이만 8세 이전에 시작 되었을 경우 의심하게 됩니다.이차성징의 진행 정도와 성장판 검사(뼈 나이),혈액 검사(호르몬) 등으로 성조숙증이 진단되면,성호르몬 억제제를 주기적으로 투여 하게 됩니다.단, 성조숙증의 진단과 치료 시작의 시점이만 9세가 되기 전이어야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성조숙증 진료는 가까운 소아청소년과에서 가능하고,대학병원은 소아내분비 의료진이 성조숙증을 진료하는데, 수개월 뒤에 예약이 가능한 곳이 많습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성조숙증이 생기는 이유와 안좋은점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성조숙증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여아의 유방 발달이 만 8세 이전에 시작되거나,남아의 고환의 크기 증가가 만 9세 이전에 시작되면성조숙증을 의심하고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성조숙증인 여아의 80-90%, 남아의 50%는 특발성으로,특별한 원인(뇌종양, 갑상선 질환, 난소/고환 질환 등) 없이성조숙증이 진단된 경우입니다.기저질환(뇌종양, 갑상선, 난소/고환 질환 등)이 있다면해당 질환을 잘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특발성 성조숙증은 성호르몬 억제제 투여가 주요 치료 입니다.성조숙증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목적은 빠른 이차성징으로 인해 성장이 일찍 마무리 되어원래 성장할 수 있는 키보다 못 자라는 것을 최소화 하고,또래에 비해 급격하고 빠른 신체의 변화로아이가 느낄 심리적인 부담을 줄이고자 함 입니다.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질환안내(성조숙증)
Q. 신생아는 집에 온도를 몇도정도로 맞추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신생아의 환경을 어떻게 할지 고민이신 듯 합니다.신생아 방의 온도는 22-26ºC, 습도는 50-60%,적당한 밝기(60 foot candle), 조용한 분위기(80dB 이하),감염 예방을 위한 청결한 환경이 권장됩니다.아기가 건강히 잘 자라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