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최영곤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자고 일어났더니 갑자기 왼쪽팔을 들 수 없을정도로 아픈데 왜 이런 거죠?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수면 후에 근육통 및 관절통이 발생한 경우 잠을 잔 자세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체검사 및 영상검사 없이는 정확히 판단이 어려우며, 통증 지속 시 정형외과에 내원하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너무 쉬운 질문 이지만... 두통이 올땐 어느 병원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두통이 발생하는 경우는 신경과에 내원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두통에도 생각보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신경과에서 이를 진단합니다.
정형외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계단에서 넘어져 '인대손상' 관리법?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병원에 내원하여 물리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만, 자택에서 할 수 있는 처치로는 해당 부위 사용을 최소화하고 온찜질을 하는 것 정도가 있겠습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감기와 독감은 다른 병명인가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이며,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감기는 굉장히 다양한 바이러스 및 균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라이노 바이러스 등등..)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때문에 독감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감기가 예방되지는 않으며 독감 검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검사를 하는 것입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귀에서 들리는 이명소리 원인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동반증상이 없는 이명의 경우 대부분이 컨디션 저하,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푹 쉬고 컨디션이 회복되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이명과 함꼐 귀가 멍하거나 청력저하, 어지럼증 등이 동반되면 이비인후과적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니 진료가 필요합니다. 만약 단독 이명이더라도 몸 상태와 무관하게 지속적 혹은 지나치게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독감 예방접종은 독감만 예방이 된다고 하는데 감기는 예방접종이 없나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감기라고 부르는 질환은 굉장히 다양한 바이러스 및 균이 원인이 되어 증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실 상 예방주사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감기는 비말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마스크착용, 손위생 등을 통해 예방하시면 효과적입니다.
정형외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재활 치료는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재활치료를 받고 싶으시다면 재활의학과에 내원하셔서 상담하시면 됩니다. 수술을 받은 병원에서 진단서나 영상자료를 받아서 재활의학과에 내원 후 상담해 보시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이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터널증후군의 가장 흔한 증상은 손이 저린 것 입니다. 눌린 신경에 따라 저린 부위가 다를 수는 있지만, 부위과 어디든 손과 손가락이 저린 증상이 일반적입니다. 치료는 질환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치료와 수술적치료가 나뉩니다. 정형외과 혹은 재활의학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내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혹시 이석증 전조증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특별히 전조증상은 없습니다. 이석증은 발생하는 즉시 고개를 움직이거나 몸을 움직일 때 빙글빙글 도는 듯한 어지럼증이 발생합니다. 그러한 증상이 다시 생긴다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시면 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2년 12월 21일 작성 됨
Q.
발목 금간지 2년지났는데 뛰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사실 2년이 지났다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무리해서 움직일 시 통증이 아직까지 있다면 현재 발목에 문제가 있지 않은지 정형외과에서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