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영곤 전문가입니다.
최영곤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가래 뱉으면 피가 섞여 나옵니다.. 문제있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요즘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이거나, 가래를 뱉으면서 목 부위에 상처가 생겨서 피가 섞여 나오거나, 코 안에 상처가 있어 콧물과 가래가 섞이면서 피가 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이비인후과 혹은 내과에 내원하여 상담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내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허리가 아파서 병원에 다니고있는데 일을 쉬라하는데 못쉬어요, 나빠질까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직접 진료를 시행한 분의 소견이 가장 정확하겠습니다. 단순히 생각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있는데 일을 계속한다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내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고혈압 초기 증세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안타깝지만 고혈압은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이 없습니다. 때문에 혈압을 측정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으로 조기 발견은 어렵습니다. 요즘 가정용 혈압계가 구매가 불가능할 정도로 고가도 아니며, 어느 병원을 가도 혈압측정은 대부분 가능합니다. 자주 측정하며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과민성 대장 증후군 의심 관련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과민성대장증후군은 주로 복통과 설사를 하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면 단순 기능성 소화불량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내과에 내원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코로나 격리 2일차인데 몸이 안좋은데 라면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코로나에 걸렸다고 해서 특별히 음식을 제한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셔도 무방합니다.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산부인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갱년기 여성호르몬제 복용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불편증상이 딱히 없다면 반드시 여성호르몬제를 복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폐경을 하였다고 무조건 여성호르몬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고, 치료의 적응증이 있습니다.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상담해 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피부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Ct 찍을 때 조영제 사용은 부작용 없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조영제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보다 그로 인해 얻는 의료적인 득이 더 크기 때문에 조영제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부작용은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이며, 이는 알러지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면 완전히 회복됩니다. 드물게 신손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확률은 굉장히 낮습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를 위해 CT를 찍는 경우, 똑같은 설명이지만 조영제로 인한 위험보다 추적관찰의 필요성이 훨씬 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자고일어났는데 목이 너무아파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보통 자고 일어나서 목에 불편감이 느껴지는 경우는 주무시는 환경이 건조하기 때문일 경우가 많습니다. 주무시는 환경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해보시고, 건조하지 않은데도 불편증상이 지속된다면 내과나 이비인후과에 내원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산부인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생리양이 급격히줄어들았어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생리양이 줄어드는 것이 폐경의 전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컨디션에 따라 차이가 있기도 하며 진통제 복용 여부에 따라 생리양이 조금씩 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생리양이 변화한 상태로 지속된다면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상담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형외과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스트레스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단순히 스트레스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우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므로, 류마티스 내과에 내원하여 상담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