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용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용준 전문가입니다.
최용준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영양제
학문
전기·전자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휴대폰 충전선은 왜 종류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충전기의 타입별로 기술적인 차이는 크게 없을것으로 생각됩니다만, 법적으로 규제를 할 수 없기도하고,대형 휴대폰 회사들이 본인들이 제작한 충전기 또한 팔기 위해서 본인 회사의 휴대폰에만 적용되는 충전기로 제작하는것으로 생각이 드네요..
화학공학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비누 방울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비누의 경우 계면활성제입니다. 물은 서로 뭉치려고 하는 인력이 굉장히 센데, 계면활성제가 섞이게 되면 이러한 인력, 표면장력이 약해지고 구 형태로 비눗방울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북극곰은 사람을 찢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북극곰은 사람을 찢는다는 밈은 예능에 등장한것으로, 북극곰이 그만큼 힘이 세고 육식을 하기 때문에 사람을 찢을 만큼 강력하다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토목공학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고도가 높은 산에는 왜 식물들을 살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사는 대기권중 제일 하층부인 대류권에서는 고도가 높아질 수록 기온이 낮아집니다.식물이 살아가는데 기온이 매우 중요하므로, 고도가 높은 곳에는 식물이 살기 어려워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왕성은 실제 확인결과 태양을 주위로 돌고 있지 않고, 조금 다른 궤도를 가지고 있는것으로 확인되었으며,행성으로 분류하기에 너무 작기 때문에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별은 실제로 보면 그 별모양 인가요?
안녕하세요. 실제 우리가 별이라고 부르는, 항성이나 행성들의 경우 실제로는 지구와 같이 둥근 모양으로 생겼습니다.그러나 우리는 그 빛만 볼수있고 빛의 퍼지는 모습으로 우리가 흔히 쓰는 별모양 처럼 빛 줄기가 퍼져보이기에 그런 상징이 만들어진것으로 보입니다.
화학
2022년 8월 30일 작성 됨
Q.
수은중독이라고 있는데 정말 중독은 아니죠?
안녕하세요. 수은중독은 실제 탐닉, 갈망 증상을 나타내는 중독 증상은 없지만 수은이 몸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여러 안좋은 증상을 의미합니다.수은은 액체로 존재하는 금속으로 만지거나 호흡에 의해 몸에 흡수될수있으며,지하수나 어류에 조금씩 축적된 중금속을 섭취함으로서도 몸에 쌓일수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8월 27일 작성 됨
Q.
키는 유전자 영향이 제일 크나요?
안녕하세요.신체적 조건에서 가장 영향이 큰것은 유전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식습관, 생활습관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긴 합니다.
화학
2022년 8월 27일 작성 됨
Q.
드라이클리닝원리가 궁금합니당!
안녕하세요. 드라이클리닝은 휘발성 유기용제를 이용해 세탁하는 방법으로 쉽게 얘기하면 기름 성분을 이용해 옷의 기름 성분을 떼어내는 것 입니다.따라서 수용성 성분은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유기용제가 남아 불쾌한 냄새를 줄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27일 작성 됨
Q.
빛의 속도는 어떤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아는 빛의 속도인 초속 30만km는 저항이 없는 진공에서의 속도이며, 최대속도를 의미합니다.저항이 있으면 빛의 속도도 줄어들며, 실제로 공기중에서 빛의 속도는 조금 더 느려지고, 물속에서는 3/4 까지 줄어든다고 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