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조영이 발해를 세우게 된 배경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68년 당은 대동강 이북과 요동 지방의 고구려 땅을 차지하기 위해 평양에 안동 도호부를 설치했고 고구려 유민은 요동 지방을 중심으로 당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고 이에 당은 고구려 유민을 통제하기 위해 영주로 강제 이주했습니다. 이곳에는 고구려 유민을 비롯해 말갈인, 거란인 등 다수 민족이 당의 감시와 통제를 받고 있었으므로 언제든 반란을 일으킬수있는 상태였습니다.696년 5월 거란추장 이진충과 손만영이 영주도독 조홰의 폭정에 불만을 품고 봉기했고 혼란을 틈 타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사리 걸걸중상과 그의 아들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 말갈인과 함께 영주를 탈출해 만주 동부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이동 중 말갈인을 이끌던 걸사비우와 고구려 유민을 이끌던 대사리 걸걸중상이 전사하며 대조영이 무리를 이어 받은 것으로 추정합니다.대조영은 추격해오는 이해고와 당나라 군을 천문령 전투에서 크게 무찌른 뒤 만주 동부 지방에 남아있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규합해 698년 길림성 돈화현 부근에 위치한 읍루의 동모산 기슭을 차지하고 당나라의 안동도호부를 정복해 도호부의 한족들을 노비로 강등시키면서 진국을 건국했고 말갈촌장 , 고구려 촌장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진국왕이 되는데 고왕 대조영은 천통이라는 독자 연호를 사용했습니다.당나라는 대조영의 발해 건국이 기정사실화 되고 돌궐, 거란, 해 등의 압력으로 요하 유역과 만주 일대를 발해에게 정복당하고 안동도호부도 멸망하자 발해인들을 달래기 위해 705년 책봉을 시도했으나 불발되었고 713년 대조영은 좌효위원외대장군 발해군왕이 되었고 홀한주 홀한주도독의 벼슬을 추가, 당나라는 발해의 번성에 굴복하게 됩니다.
Q. 농우회 사건은 어떠한 사건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우회 사건은 일제가 농우회를 탄압하기 위해 다수의 기독교 지도자를 체포한 사건으로 1938년 6월 의성의 경찰이 의성읍 교회 목사로, 농우회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청년운동을 주도하고 있던 유재기를 비롯해 반일 사상을 지닌 교회 지도자를 체포한 사건입니다.고향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의 숭실전문학교와 평양신학교를 고학으로 졸업한 유재기는 1933년 2월 조선일보에 19회에 걸쳐 한 교회에 한 조합을 설치하자는 취지의 협동조합론을 발표해 호응을 얻었으며 1934년 목사로 있던 칠곡교회에서 이 운동을 스스로 실천해 많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의성읍 교회 목사로 자리를 옮긴 후 조선소년군 운동이라는 명칭으로 그리스도교 청년운동을 전개해 농촌청년들의 의식을 깨우치고 사기를 고취시키는데 힘을 쏟았는데, 이러한 청년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일경이 조작한 것이 농우회 사건입니다.농우회는 1930년대 평양신학교 학생들이 각자의 고향에서 조직한 농촌계몽조직으로 이 농누회를 중심으로 농촌의 그리스도교 청년들이 협동조합을 만들고 야학을 열어 글을 가르치고 농사법의 개량을 도모하는 등 농촌사회를 보다 잘 살게 하기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는데 여기에 뜻있는 그리스도교 인사들이 많이 참여했습니다.의성경찰은 의성읍 교회의 각종 장부를 압수, 유재기 목사를 비롯해 이재인, 박대환, 이동수, 백치문 등 청년회 임원들과 정일영 목사, 오진문 장로 등을 체포, 구금했는데 유재기는 구속, 기소되어 1년 징역형을 받았고 나머지 교인들은 8개월 동안 고초를 겪다 12월 말 석방되었습니다.일제가 이 사건을 조작한 이면에는 다른 차원의 민족운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이런 운동을 사전에 차단하고, 일제의 통치에 큰 위협이 될 청년 지도자에 대한 예비적 검속의 의도가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Q. 고사성어 '와신상담'에 나오는 인물이 누구이며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와신상담은 와신과 상담이 합쳐진 고사성어로, 와신은 오나라 왕 부차가 섶나무 위에서 자던 것을 말하며, 상담은 월나라 왕 구천이 쓸개를 맛보던 것을 말합니다.중국 춘추시대 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 왕 구천과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부상당한 상처가 악화되어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합려는 죽기 전 자신의 아들 부차에게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는 유언을 남깁니다.부차는 복수를 잊지 않기 위해 섶나무 위에서 누워 자면서 지나다니는 신하들에게 말하길, 부차야! 너는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사실을 잊었는가! 그러면서 부차는 복수를 준비하며 때를 기다립니다.구천은 부차가 월나라에 복수하려고 한다는 사실을 알고 먼저 공격했으나 패해 회계산에서 포위당하는 신세가 됩니다.구천은 오나라의 백비에게 뇌물을 주며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 청하고 오나라의 오자서는 구천을 지금 쳐야한다고 주장하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구천은 고국으로 돌아갑니다.구천은 고국에 돌아온 후 쓸개를 옆에 두고 맛보며 말하길, 너는 회계산에서의 치욕을 잊었는가,그렇게 복수할 기회를 노리던 구천은 이십여년 후 오나라 수도를 점령하고 부차를 굴복시켜 최후 승자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