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은 독도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데 그 저의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도는 군사적 요충지, 생태계의 보고, 수산자원의 보고 등 독도의 경제적 가치는 돈으로 환산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이 독도 연안 해저에 묻혀있는 광물자원으로,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되어있습니다. 이는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로 해저의 높은 수압과 낮은 온도에서 메탄가스가 물분자와 결합해 얼음처럼 굳어 있는 천연가스 덩어리입니다.이는 상온에 있으면 기화하는데 여기에 불을 붙이면 잘 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석탄이나 석유가 발화할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기때문에 미래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또한 독도 해저에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되었다는 것은 독도 해저에 유전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우리는 독도에 대해 일본이 대응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고, 민간인 차원에서 독도 영유권에 대해 다방면으로 운동을 펼치고 있으나 정부 차원에서는 두드러지는 행동이 보이지 않는 실정입니다.정부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한다면 우리가 움직여야 하므로 ,제대로된 역사의식을 가지고 꾸준하게 독도영유권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거나 근거를 들어 알리고, 국민들 역시 기본적으로 영유권 문제와 그 근거 ,이유 등의 정도는 뚜렷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 한국아동문학상은 어떤 상이며, 어떤 목적으로 시상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주요 아동문학상은 소천아동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새싹아동문학상, 한정동아동문학상 등이있으며 소천아동문학상은 아동문학가 강소천을 기념하기 위해 1965년 배영사가 제정한 상으로 해마다 뛰어난 아동문학 작품에 수여합니다. 세종아동문학상은 1968년 소년한국일보에서 제정, 새싹문학상은 1956년 윤석중을 중심으로 발족한 새싹회에서 제정한 문학상으로 1957년부터 소파상으로 수여합니다.1973년부터 새싹문학상으로 수여하며 대한민국아동문학상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1976년 제정해 수여하다 1980년부터 대한민국 아동문학 부문으로 수여, 한정동아문학상은 동요 시인 한정동을 기념하기 위해 1969년부터 매년 발표되는 우수 동시와 동요에 수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