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대 도시 바빌론의 공중정원은 어떠한 장소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빌론의 공중정원은 고대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수도 바빌론에 있던 거대한 옥상 정원 단지 입니다.옥상에 조성된 정원이며, 당대 건축 기술로 고층 건물에 물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려 수목이 가득한 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에 불가사의로 여겨집니다.이러한 높은 곳에 조성된 정원은 여러 신화에서 신이 다스리는 낙원의 이미지와도 닿아있으며 고대인들은 당시로서는 상상의 산물에 불과했던 것이 지상에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그 경이로움에 감탄합니다.기원전 5백년 경 신 바빌로니아의 느브갓네살 2세가 왕비 아미타스를 위해 수도인 바빌론에 건설했으며 산이 많아 과일과 꽃이 풍성한 메디아에서 자란 왕비는 평탄하고 비가 잘 오지 않는 바빌론에 마음을 두지 못한 채 항상 아름다운 고향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했는데, 이 모습을 보고 안타깝게 여긴 왕은 메디아에 있는 어떤 정원보다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기로 결심, 허나 비가 거의 오지 않는 이곳에서 큰 정원에 물을 대는 것은 큰 문제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왕은 정원의 맨 위 커다란 물탱크를 만들어 유프라테스 강의 물을 펌프로 길어 올리고 그 물을 펌프로 각 층에 대줌으로 화단에 적당한 습기를 유지토록하며 물뿌리개를 이용해 물을 공급했습니다.
Q. 고전소설 배비장전이 풍자하고 있는 내용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설 배비장전은 현재 전하는 내용으로 보면 19세기 조선시대를 반영하고 풍자하는 작품입니다.배 비장에 대한 풍자가 중심이나 제주 목사 등 다른 인물 등에 대한 풍자가 들어있고, 제주 목사에 대한 풍자는 제주 목사가 배를 타면서 처음에는 큰 소리를 치다 풍랑이 일자 넋이 나가 벌벌 떠는 대목에서 이루어지며 이때 비장들도 신세 한탄을 하며 울고불고 하는데 이런 모습을 통해 지배층의 위엄이 별 볼일 없는 것임이 풍자됩니다.제주도를 떠나는 정 비장도 풍자의 대상으로 그는 애랑과 헤어지는 자리에서 집으로 가지고 가던 모든 물건을 애랑에게 주고 입고 있던 옷마저 다 벗어주고 알몸이 되며, 마지막에 이까지 뽑힙니다. 이처럼 기생에 빠져 헤매는 어리석은 관리의 모습이 폭로됩니다.배 비장은 지배층과 피지배층 양쪽에서 풍자의 대상으로 배지장이 같은 지배층에게 풍자의 대상이 되는 것은 그가 독불장군처럼 행세하기 때문ㅇㄴ데 제주도 부임 첫날, 남들은 기생과 어울리고 노는데 배 비장은 혼자 구대정남 곧 대대로 바람을 안피우는 집안의 남자라 깨끗한척 합니다. 이에 제주 목사와 동료 비장들은 배 비장을 관료 문화에 어울리지 못하는 인물로 보기때문에 그를 길들이기 위해 기생들에게 배 비장을 훼절 시키는 사람은 큰 상을 주겠다고 제의 , 이에 애랑이 자원해 공모가 이루어집니다.
Q. 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난에서 벗어나 잘 살아보자는 운동으로 농촌경제 발전과 농가소득 향상을 목표로 시작되었습니다.공업 중심의 경제개발로 농업의 중요도가 낮아져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자 농촌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고, 집권당의 전통적 정치기반을 흔들 수 있는 정치적 불안요소가 되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추진한 것이 새마을 운동입니다.새마을 운동은 농촌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나 차츰 도시로 확대, 전국적인 운동이 되며, 운동의 성격도 잘 살기 운동에서 올바른 정신을 강조하는 정신운동으로 바뀌었으며, 당시 낙후된 농촌 환경을 개선하고 우리 경제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세계적으로도 농촌 개발의 좋은 사례로 평가 받아 아프리카의 빈곤 지역에서 이 운동을 본 딴 지역 개발 운동이 이루어지며 , 새마을 운동은 별도의 중앙 조직이 세워지면서 민간 중심의 운동으로 변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