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휴가라는 개념이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종실록 26권을 보면 관공서에 급가를 제외하고 매월 순휴, 상사, 중오, 중양에 각 1일씩 휴무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순휴일은 매월 10일마다 한번씩 휴무를 취하는 방식으로 고려와 조선에서는 삼가일이라 하여 한달에 3번 정도 휴무일, 즉 순휴일을 두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유럽의 창에는 방충망이 왜 없다시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집은 돌과 벽돌로 건축물을 튼튼하게 지었는데 벽이 지붕을 떠받치는 형태다 보니 중간에 창문이라는 큰 구멍을 내기 힘들었으므로창의 가로 폭을 줄이고, 세로로 길쭉한 창 모양을 만들게 됩니다.부자들에게 세금을 더 걷는 방식의 부자증세로 창문세가 있었는데 창문 폭을 기준으로 세금을 걷은 것인데, 이를 피하기 위해 유럽인들은 더욱 창문을 세로로 길게 만들었습니다.이런 모양의 창문은 창이 좁아 털트창이나 오르내리기 창으로 설치, 그 틈새를 비집고 창문 바깥쪽에 방충망을 달아야 하니 작업이 어려울수 밖에 없으며, 설치 가능한 방법은 유사시 여닫는것이 불가능한 고정 방충망 뿐이었습니다.또 유럽 특유의 고온 건조한 날씨에 모기나, 파리의 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랑캐라는 말은 어떻게 생긴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비 사막의 북방, 즉 막북의 동부에 할거하던 몽골계 종족인 우량카이족에서 유래한 이민족에 대한 한국어 멸칭입니다.중세 몽골어로 삼림민을 뜻하는 우량카이에서 유래했는데 중세 몽골인들이 투바인들을 비하할때 쓰이던 말이었고, 원나라때 중국 문화를 받아들여 중원으로 이주한 일부 몽골족은 중원으로 이주하지 않고 초원이나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몽골족들과 다른 유목민들을 야만족으로 여기며 멸시한 것으로 봅니다.명나라때 여진이 중국인들 보기에 만주의 숲속에 사는 삼림민들이었고, 이들도 우량카이와 같은 말인 올량합이라 불렀으며 한국에서도 여진의 일파를 올량합이라 부르다, 이 말이 변해 오랑캐가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수능 출제에서 킬러문항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킬러문항은 상위권 수험생의 변별력을 따지기 위해 출제기관이 의도적으로 시험에 포함하는 초고난도 문제를 말합니다.예를들어 변별력 확보를 이유로 난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정답률이 전체 수험생의 10%도 되지 않는 문제나 공교육 과정을 벗어난 문제들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에 역사상 최초에 대학교 기숙사는 언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조선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에 동재와 서재 라는 기숙사가 있었고, 동제는 생원, 서재는 진사 출신이 기거했으나 세월이 지나며 당파에 따라 나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최초로 만들어서 상영되어진 영화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영화는 중국인 세탁소에서 생긴일, 열차의 도착 두 작품으로 1895년 12월 28일 프랑스에서 뤼미에르 형제가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글은 세종대왕님 혼자 만드신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세종대왕 혼자 만들었습니다.조선왕조실록 102권을 보면,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를 모방하고,, 라고 기록되어있습니다.또, 훈민정음 서문에 보면 한글 28자를 자신이 직접 만들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하마스는 어디를 말하는건가요? 전쟁중이라는데...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마스는 팔레스타인의 이슬람주의 정당으로서 군벌로 이루어진 테러 단체를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하마스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마스는 팔레스타인 이슬람 저항 운동으로, 팔레스타인의 이슬람주의 정당으로서 군벌로 이루어진 테러 단체입니다.1987년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의 압제에 반항하는 대대적인 봉기가 일자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의 팔레스타인 지부가 떨어져 나와 아메드 야신이 설립한 정치 조직으로 이스라엘 정부가 1차 인티파타를 잔혹하게 진압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89년 이스라엘군을 공격해 2명의 이스라엘 병사를 암살하며 그 이름이 드러났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익태 선생의 친일행적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익태가 유럽으로 건너간 이후 1938~1944년까지의 행적이 논란이 되고있습니다.에키타이 안이라는 이름은 안익태가 일본식 이름으로 활동한 것으로 친일 행적으로 꼬집는 사항이며, 일본의 궁중 음악 에텐라쿠를 바탕으로 한 같은 이름의 관현악 환상곡을 작곡, 이는 적당히 손질해 나중에 내놓은 한국의 아악을 바탕으로 만든것이라는 주장, 황기 2600주년 기념 봉축곡까지 관련, 1941년 명치절을 기념해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를 연주했습니다.
4564574584594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