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민족 말살정책과 비슷한 정책 다른 게 뭐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 차르 표토르 1세는 1720년 우크라이나의 언어적 요소를 말소하라는 법령을 선포 , 이후 소련 시절 까지 200년 넘는 기간동안 민족말살정책이 수행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환단고기라는 것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환단고기는 1979년 이유립이 출간한 유사역사학 서적을 말합니다.범례에는 태백교라고도 불리는 단학회의 계연수가 민간에 은밀히 전해지던 4종의 문헌을 묶어 이기의 감수를 받아 필사 후 1911년 인쇄했다고 기록되어있으나 1911년 실제로 출간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없으며, 계연수가 실존여부도 확인되지 않습니다.환단고기의 저자 이유립과 그 추종자들은 이 책이 1911년 계연수라는 인물에 의해 저술되었고 소위 환국이라고 하는 단군 이전의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역사를 모아 편찬한 귀중한 책이라 주장하나 이는 저자 자신이 1960~1970년대에 걸쳐 창작하고 수정을 반복한 위서 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득달같다'라는 말에서 '득달'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득달같다에서 득달은 목적지에 도달하다, 또는 목적을 이룬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차이코프스키가 차이콥스키로 표기가 달라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이지만 차이콥스키는 2005년 러시아어 표기법 제정 이전부터 그 이름이 알려진 인물로 언중 용례상 여전히 차이코프스키로 지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강세에 따른 러시아어 발음은 표트르 일리이치 치이코프스키이 입니다.이는 차이콥스키의 철자 가운데 알파벳 o에 강세가 있어 오로 발음하고 대신 앞 a의 발음이 이 로 약화되는 현상이 반영된 것 입니다.
미술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통신사에서 lte보다 빠른 5g개발을 한지 꽤 된거 같은데 속도는 기대만큼 안나오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부분 국가 5G속도는 LTE대비 3~6배정도 빠른데, 우리나라 이동통신 3사에서 5세대 통신 데이터 전송 속도를 25배 부풀려 광고했다고 하여 총 336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습니다.따라서 우리가 접한 광고를 보고 빠른 속도를 기대했지만 생각보다 느리다고 판단되는것은 이 때문입니다.
미술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유럽 르네상스 대표하는 예술가들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예술가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가 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대중가요를 언제부터 트롯트라고 불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로트라는 명칭은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1960년대 말에 이르러 뽕짝이라는 다소 비하적 명칭이 등장하여 꽤 오래 공식적인 양식 명칭으로 통용되기도 했고 이 비하적인 명명에 대한 반작용으로 1980년대 후반 전통가요라는 이름으로 불리다 1970년대 이후 트로트 라는 명칭이 가장 널리 쓰이게 됩니다.
음악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동공이곡은 무슨 뜻인가요? 두회사의 제품은 동공이곡이야 같은 기능 제품인데도 각 회사개성이 디자인 에서 구분된다 여기서 동공이곡은 무슨 뚯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량은 같으나 그 정취는 다르다는 말로 처리하는 방법은 같아도 그 결과에 있어 차이가 난다는 뜻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방랑시인 김삿갓이 남긴 시 중 지금까지 전해지는 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삿갓의 작품에는 마음 씀씀이가 고약한 시골 훈장이 한 끼를 청하러 찾아온 김삿갓을 내쫓기 위해 실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는 글자인 찾을 멱 자 4개로 운을 떼어 시를 짓게 했을 때 그가 지은 시인 사멱난관 이 있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14일 작성 됨
Q.
진또배기가 강원도 말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또배기는 강원도 방언으로 솟대를 의미합니다.솟대를 짐대라고도 하는데, 짐대에 무언가 박혀있다는 뜻의 접미사인 -박이가 합쳐지며 짐대박이가 되었고 이것이 ㅣ 역행동화를 거쳐 짐대백이가 되고 이것이 후에 진또배기가 되었습니다.
581
582
583
584
5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