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문학에 과학도 포함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인간의 사상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으로 미국 국회법에 의해 규정된 것을 보면 언어, 언어학, 문학, 역사, 법률, 철학, 고고학, 예술사, 비평, 예술의 이론과 실천 , 인간을 내용으로 하는 학문 입니다.과학의 경우 사물의 이치나 지식 따위를 해명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정연하게 일반화한 명제의 체계 입니다.즉 인문학과 과학의 경우 대립되는 영역입니다.
Q.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고집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에 대해 강하게 생각하게 된 것은 병인박해로, 병인박해는 1866년 조선에서 천주교를 탄압했던 사건으로 천주교와 관련된 사람들을 처형하고 그 수가 8천명에 달했다고 합니다.천주교를 탄압한 것은 1860년 청나라와 러시아가 베이징조약을 맺었는데 이때 러시아는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면서 통상을 요구, 당시 조선은 러시아에 대해 경계심이 강해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 당시 청나라에서 천주교를 탄압했는데 흥선대원군이 천주교와 교섭을 하고 있다는 정보가 밖으로 새어나가자 대원군은 정치적인 곤경에 빠졌고 천주교 사람들을 탄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천주교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보여주게 됩니다.또, 미국 상선인 제너럴셔면호가 백령도앞에 나타났고, 그들은 상선이라고 하지만 자기들 뜻대로 되지 않으면 무력으로 공격을 하던 해적선과 같았으며 제너럴셔먼호는 포를 통해서 조선을 공격, 이들의 공격이 계속되자 조선의 관군도 공격을 했고 결국 선원들 모두 불타 죽게 됩니다. 미국은 이 사건을 수사하며 조선에게 책임을 물어 신미양요를 일으키게 됩니다.또 병인양요는 병인박해에 대항해 프랑스의 함대가 강화도를 침범한 사건으로 병인양요는 프랑스가 스스로 물러나 조선이 승리한 듯 보이지만 조선의 피해가 막대했고 당시 프랑스에 빼앗긴 역사적 유물도 많았습니다.결국 조선은 프랑스와의 수교통상을 절대 하지 말자는 생각을 가지는 계기가 됩니다.또 오페르트도굴사건으로,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묘를 프랑스선교사, 미국인, 말레이시아인, 조선인안내자 등 100여명이 몰려가 묘를 파헤치는데 그 목적이 시체를 인질로 삼아 조선과 수교통상을 하려는 목적, 묘의 부장품을 가지려 했던것입니다.이러한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국 쇄국정책에 대한 의지를 굳건히 하게 됩니다.
Q. 히틀러는 왜 유태인들을 대상으로 한 대량학살인 홀로코스트를 추진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부터 독일에서는 반유대주의 사상이 싹트고 있었고, 히틀러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치당에 가입하면서 반유대주의 감정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히틀러는 게르만족 우월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1차 세계 대전 패배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만 했는데, 독일인이 아닌 다른 구성원때문에 전쟁에서 패했다는 이유를 찾아야 했고, 그 대상이 유대인이 됩니다.힡틀러는 유대인의 배신과 무능함으로 전쟁에서 진 것이라 주장했으며, 당시 유럽에서는 유대인들의 자본이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므로 이들의 자본을 흡수하기 위해 반유대 감정을 드러내게 됩니다.
Q. 일본에서 고양이캐릭터들이 인기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95년 내린 살생 금지령 때문으로, 이는 쇼군 행차 시 개나 고양이를 풀어두는 것을 허가하고 새나 조개류를 에도성에서 식용으로 쓰지 말 것 등이었는데 이것이 1694년이 되면서 금붕어까지 보호 대상이 됩니다.이 법령은 쓰나요시의 어머니 게이쇼인과 쓰나요시가 귀의한 고코쿠사의 주지 류코가 쓰나요시에게 대를 이을 아들이 없는 것은 전쟁에 살생을 많이 한 업으로 그 죄를 씻기 위해 살아있는 생물을 애호해야 하며 특히 쇼군은 개띠이므로 개를 소중히 하는 것이 좋다는 권유 때문입니다.이것이 점차 미신화되며 위반한 사람들에게 엄격한 처벌을 하였는데 개는 매우 소중히 여겨 놀리거나 몽둥이로 때리면 바로 체포, 개는 견공이라 불리어 병이 나면 수의과병원에가서 극진히 치료했습니다.이에 집안에 개가 있으면 신고와 함께 후환이 두려워 동물 사육을 기피하고 몰래 버리기도 했는데, 이에 개보다 고양이가 더 친근감있게 되었습니다.
Q. 우리나라에 역사적으로 여왕이 몇번이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여왕은 총 세명으로 선덕여왕, 진덕여왕, 진성여왕 입니다.이유는 골품제 때문으로 신라에서는 왕의 아들이 왕위를 잇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선덕여왕은 골품제라는 신라 신분제도 로 왕이 될수 있었습니다.신라의 신분은 성골, 진골, 6두품, 5두품, 4두품, 평민으로 나뉘는데 성골은 부모 양쪽 다 왕족인 순수 혈통으로 진평왕이 죽자 왕위를 이을 아들이 없었으므로 장녀인 덕만이 왕위를 잇게 되어 선덕여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