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왕즉불 사상이 신라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륜성왕은 불교에서 정법에 의한 통치로 이 세상에 이상국가를 실현한다는 제왕으로 전륜성왕사상은 삼국에서 불교의 종교적 신성에 따라 왕의 권위를 높이는 이념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이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수용, 한국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는 4세기 전후의 삼국시대로, 전래된 내용은 중국에서 변용된 인도불교로 남북조시대 북조의 영향을 받았습니다.중국 북조 불교는 국왕이 곧 불교라는 왕즉불 사상이 기조를 이루었는데 삼국은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왕실의 주도 하에 새로운 지배이념으로써 불교를 수용, 불교는 고대국가의 이념적 기반인 동시에 국왕의 권위를 높이는 수단이 되었습니다.특히 전륜성왕사상은 불교의 신성한 권위에 기대어 왕권을 높이기 위해 수용된 불교의 정치이념이었습니다.
Q. 조선의 4군 6진 설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군은 압록강 상류에 두었던 여언, 자성, 무창, 우예를 두었던 사군을 말하며(서북면지역), 육진은 두만강 하류에 설치한 종성, 온성, 회령, 경원, 경흥, 부령의 육진을 말합니다.(동북면지역)
Q. 중국인들은 왜 빨간색을 좋아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부터 중국은 황색, 자색, 홍색, 녹색, 청색 , 흑색, 백색의 순으로 신분을 알수 있었습니다.황색의 경우 최고 권력자인 황제의 색으로 구분되어 금기시 되던 색이었고, 그 다음이 적색 계열로 높은 권력을 상징했습니다.또 양의 기운이 넘치는 붉은 색을 귀신이 쫓는 색이라는 생각과 빨간색은 불과 태양과 피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Q. 한국은 채소라고 부르는데, 일본은 왜 야채라고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채소와 야채는 모두 현대 한국에서 표준어로 인정되나 야채가 일본식 표기라 주장하는 견해도 있습니다.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야채 라는 표현이 등장, 일본에서도 사람이 인위적으로 기른 식물은 소사이, 야사이는 본디 야생의 물을 일컬었으나 점차 일본 내에서 재배 기술이 발달해 야생에서 먹거리를 직접 채취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그에 따라 단어 야채와 소채를 혼용해 사용, 1946년 일본 내각에서는 획수가 많고 쓰기 힘들다는 이유로 동든 소 를 상용한자를 지정할때 제외하면서 문서에 소사이를 야사이로 대체해 표기하는 행정조취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