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의 성리학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사회적, 정치적 체제를 유지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성리학은 사람들에게 올바른 도덕적 행동과 사회적 관계를 지키는 방법을 가르쳤습니다.성리학은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두므로 국가 기관에서도 교육과정에 포함,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가르쳤으며 이는 조선시대의 사회 질서와 통치 체계의 핵심원리가 됩니다.중국과 달리 다른 학문이 나오지 않은 것은 조선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인 배경으로, 조선은 중국 문화의 강력한 영향을 받았고, 성리학이 이미 중요한 위치였습니다. 이에 조선의 학문 발전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Q.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주식시장에서는 판매 압력이 늘어나 주가가 하락할수 있으며 채권시장에서 안전자산인 한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금리 하락이 예상될수 있습니다.전세계의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금리 등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한 주식시장의 판매 압력이 늘어나 주가가 하락, 안전자산인 국채등의 수요 증가로 금리 하락의 원인이 될 수있습니다.금융상품 중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금의 특성상 경제적 불안정성이 증가 시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인기가 높아지며, 신용파산 스왑 등의 금융 상품 또한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Q. 에티오피아의 각뉴(칵뉴) 부대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유일의 참전국으로 당시 최정예 부대라 할수있는 황실 근위대 칵뉴 부대 6개 대대 6,038명을 파병했습니다.한국전쟁 당시 미 7사단 32연대에 배속된 에티오피아군 대대가 적근산 동북쪽 1.5km 지점인 797고지에 투입, 현지 적응훈련 중 적과 전투를 개시합니다. 1951년 8월 12일부터 동년 8.24일까지 전투를 실시하여 적 130여명을 사살, 200여명 사상자를 내게하는 전공을 세웠습니다.또한 평화유지와 재건이라는 목적으로 한국에 남아 많은 도움을 주었는데 자신들의 월급을 모아 경기도 동두천에 보화 보육원을 설립, 1956년까지 전쟁고아들을 보살폈습니다.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의 제 1근위사단에서 비롯된 칵뉴정예보병대대는 한국전쟁 중 미국 제 7보병사단과 나란히 큰 공을 세웠습니다.칵뉴 라는 이름은 하일레 셀라시에의 아버지인 라스 카모넨의 군마이름에서 따온것으로 칵뉴 보병 대대는 한반도로 향하는 미국 함선 제너럴 J.H. 맥레 호에 승선하기에 앞서 에티오피아 산악지대에서 8개월 동안 강도 높은 훈련을 받기도했습니다.이들은 수차례 중요한 공훈을 세우며 한국 전쟁 동안 큰 명성을 쌓았으며 공격군이자 방위군으로서 전투에 238번 참여해 전승을 거뒀습니다. 또 이들은 단 한번도 적에게 항복하거나 전사한 동료를 전장에 두고 가지 않은 유일한 파견 부대였습니다.
Q. 개를 식용으로 먹는 것에 대하여 왜 한국이 유독 알려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는 인류와 함께 해왔던 동물로서 더불어 사는 애완동물로 여겨져왔지만, 민족에게 훌륭한 식재료이기도 했습니다.개를 먹는 민족은 한국뿐 아니라 중국, 마야의 기록에도 남아있습니다.개고기는 조선시대 평민들이 자주 먹던 고기로, 조선의 왕 정조도 보신탕을 즐겼고 영의정이었던 김상철도 이를 찬성했다고 합니다.특히 임진왜란이나 일제강점기, 6.25전쟁 등 먹을 것이 귀했을 당시 많이 먹었고 여름처럼 더워 체력소모가 많은 계절에 쉽게 구할수있는 단백질이 필요했는데 소는 농사를 해야했고 돼지는 잔칫날에나 잡는 귀한 동물이기 때문에 서민들이 고기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개, 닭이었기 때문, 또한 현재 개를 도축하는 과정에서 비위생적이고 잔혹하게 도축하는 과정이 드러나며 여러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입니다.
Q. 고려시대때 역사적인 문화유산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문화유산으로는 여주 고달사지 승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청자 철와양류문 통형 병,귀면 청동로,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금동 용두보당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