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돌하르방은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하르방은 제주도에서 장승을 대신해 세워진 마을의 수호신으로 주로 성문의 입구나 길의 입구에 세운것으로 건립 연대는 알수 없습니다.다만 오래된 돌하르방이 쓰고 있는 모자는 보통 버섯머리 혹은 벙거지 모양으로 남근 모양과 흡사, 이를 토대로 남근석을 세워둔 것이 조선시대로 오면서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사람 모양의 돌하르방으로 고쳤던 것으로 추정합니다.하르방의 기원설로는 북방 기원설이 있는데 몽골로부터 전파되었다는 설, 남방기원설은 남태평양에 있는 발리섬의 석상문화가 해류를 타고 제주까지 전파되었다는 설로, 대만에서부터 시작된 폴리네시아계 민족들의 대항해 과정에서 제주도가 영향을 받았으리란 설입니다.한반도 본토설로는 조선 중후기, 한반도 남부 지방의 석장승 문화가 제주도를 통해 건너가면서 변형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가설,자체생성설은 제주도에 거주하던 고대인들이 어떤 문명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형태로 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Q. 미국은 영미석유협약을 제시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동 지역에 미국이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2차 세계대전 때부터로 2차 세계대전 전만 해도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된 원유만으로도 석유 수요를 충분히 소화, 이로 해외 산유국과의 관게 설정 내지 원유 가격 추이에 전혀 관심이없었으나 1940년대 들어 미국은 해외 석유 산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 1941년 미국은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중동 산유국들의 중요성을 확인하게 되며 전쟁의 승패는 원활한 석유 수급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이해, 더욱 중요한 사실은 우방국인 영국, 프랑스는 자체적인 원유 수급이 어려운 국가들이며 독일, 소련 등 견제 대상 국가들의 경우 국방력 유지를 위해 원활한 원유 수급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1940년대 초반까지 중동의 원유 생산량은 전 세게 생산량의 10%도 안되는 수준에 불과했음에도 이들 지역의 중요성이 고조되었습니다.이에 1944년 미국과 영국은 영미석유협약을 체결, 사우디의 석유는 미국이 갖고, 페르시아 지역의 석유는 영국이, 이라크와 쿠웨이트의 석유는 함께 개발하자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Q. 조선시대에 많던 호랑이가 멸종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구증가 및 면포 수요의 증가 등으로 인해 농경지 개간이 늘었고 15~16세기 강변의 습지가 농토가 되고 17~19세기 소원평지나 완경사지가 화전의 대상이되었습니다.좁은 한반도에 대량의 호랑이가 서식할수있었던 원동력은 먹이가 되는 대형 초식동물 밀노가 높아서인데 대표적인 대형 우제류인 백두산 사슴과 대륙 사슴은 조선 초부터 꾸준히 행해진 수렵과 개간으로 조선 중기에는 희귀종이 되었기 때문입니다.국가주도의 치계적인 포효가 불가능했던 고려와 달리 강한 행정망으로 중앙집권체제를 다진 조선은 백성과 가축을 해치는 호랑이를 외적만큼이나 중대한 위협으로 인식, 꾸준히 뿌리뽑고자 했고 초기 왕이 사냥 형식으로 진행하는 강무에서 주된 사냥감 중 하나였고 공납에 호표피를 포함시키고 호랑이를 사냥해 얻은 부산물을 사냥꾼이 가질 수 있게 해주거나 나중에는 수령 인사고과에 호랑이 사냥 실적을 반영, 다양한 논의와 노력이 이어졌습니다. 농업 발전으로 의한 인구 증가와 개간, 200년에 걸친 사냥으로 호랑이 수가 감소하면서 1724년 호표피를 진상하는 제도를 폐지하게 됩니다.임진왜란 이후 조총이 민간으로 풀리면서 호랑이는 1800년대 말 개항이 이루어지고 외국 문물이 들어오며 후장식 라이플총이 함께 들어오면서 마지막 목숨줄이 끊기는데 일제가 세력을 뻗치기 시작하면서 이국의 맹수인 호랑이에 욕심을 내고 일본인이 스포츠로 호랑이를 사냥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됩니다.일제강점기 해수구제사업으로 한반도 호랑이 멸종에 쐐기가 박히게 됩니다.
Q.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지만 중국은 여러나라의 침탈에도 식민지가 안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여러 국가들의 집단적인 침탈을 받았기 때문에 어느 한 나라의 식민지로 전락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중국은 면적이 크기 때문에 특정 국가가 중국을 독점하기도 힘들었고, 중국에 대해 여러 나라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어 서로 특정 국가의 독점을 견제, 제 2차 아편전쟁 때 영국, 프랑스가 연합군을 구성하고 미국, 러시아가 양국을 지지한 것에도 알수 있듯이 중국의 경우 여러 나라가 동시에 침탈했기 때문에 어느 일국이 중국을 독점하기 힘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