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글이 만들어지고 본격적으로 한글이 사용되기 시작한건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 창제 후 조선의 선비들은 한글을 무시했고 일제는 조선어학회 사건을 조작하는 등 한국어와 한글 사용을 금지했습니다.이런 어려움 속에 주시경, 최현배 등 많은 선각자들이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널리 보급하려 노력했습니다.1894년 갑오개혁으로 한국의 공식적인 나라 글자가 되었고, 1910년 주시경이 한글 이라는 이름을 사용, 16세기 한글 문학이 발전하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Q. 영조가 자신의 아들,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내몬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수리 출신 후궁 소생인 자신의 출신을 극복하기 위해 사실상 유일한 후계자였던 아들 사도세자의 교육에 열중해 사도세자를 학대하기 시작했으며, 부왕의 가혹한 학대로 사도세자는 끝내 미쳐버려 대낮에 내관과 종들을 죽이거나 궁녀들을 겁탈하는 등, 세자로서 절대 보여서는 안될 범죄들을 저지르게 됩니다.사도세자의 이런 범죄 행각을 알고 격분한 영조는 끝내 정신병자가 된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줄 생각을 접고, 후계자로서 모자람없는 손자 세손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결심, 이에 방해만 되는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이게 됩니다.
Q. 불교에서 말하는 돈오점수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오는 단박에 깨닫는 것, 점수는 점진적인 수행을 말합니다.불교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는 순간적인 깨달음이 필요하고, 그렇게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도 점진적인 수행, 즉 점수는 계속해야 한다는 선종 불교수행 방법론입니다.지눌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두가지 사용의 비유를 했는데 하나는 태양이 뜨고 봄이 와도 겨우내 쌓인 눈이 한번에 녹지 않는다는 것, 어린아이가 감각기관을 갖추고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인간으로서 제 기능을 하려면 어른이 되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먹고 마시고 자고 운동하고 배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비유했습니다.
Q. 조선왕릉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릉은 일부 예외를 제하고 수도인 한양 인근 경기도에 주로 밀집, 이는 조선의 국법인 경국대전에 능역은 도성에서 10리이상, 100리 이하의 구역에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입니다.건원릉- 태조고황제-경기도 구리시제릉- 신의고황후- 경기도 개성시정릉-신덕고황후- 서울특별시 성북구후릉- 정종, 정안왕후 - 경기도 개성시헌릉- 태종, 원경왕후- 서울특별시 서초구영릉- 세종, 소헌왕후- 경기도 여주시현릉- 문종, 현덕왕후- 경기도 구리시장릉- 단종-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사릉-정순왕후- 경기도 남양주시광릉-세조, 정희왕후- 경기도 남양주시창릉- 예종, 안순왕후- 경기도 고양시공릉- 장순왕후 -경기도 파주시선릉- 성종, 정현왕후- 서울특별시 강남구순릉- 공혜왕후- 경기도 파주시정릉- 중종- 서울특별시 강남구온릉- 단경왕후- 경기도 양주시희릉- 장경왕후- 경기도 고양시태릉- 문정왕후- 서울특별시 노원구효릉- 인종, 인성왕후- 경기도 고양시강릉- 명종, 인순왕후-서울특별시 노원구목릉-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경기도 구리시장릉 - 인조, 인열왕후- 경기도 파주시휘릉- 장렬왕후 - 경기도 구리시영릉- 효종, 인선왕후- 경기도 여주시숭릉- 현종, 명성왕후- 경기도 구리시명릉- 숙종, 인현왕후- 경기도 고양시익릉- 인경왕후- 경기도 고양시의릉- 경종, 선의왕후- 서울특별시 성북구혜릉- 단의왕후- 경기도 구리시원릉 - 영조, 정순왕후- 경기도 구리시홍릉- 정성왕후- 경기도 고양시건릉 - 정조선황제 , 효의선황후- 경기도 화성시인릉- 순조숙황제,숙원숙황후- 서울특별시 서초구경릉- 헌종성황제, 효현성황후,효정성황후- 경기도 구리시예릉- 철동장황제, 철인장황후- 경기도 고양시홍릉- 고종태황제, 명성태황후- 경기도 남양주시유릉- 순종효황제,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 경기도 남양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