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계사적 관점에서 서양에서는 왜 숫자6과 13을 불길한 숫자로 간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경에서는 6을 3개 붙여 666을 만들어 악마의 수로 부릅니다. 6은 인간의 불완전함을 상징하는 수로 얘기하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7은 온전함, 완전함을 상징하며 7에서 하나가 부족한 6은 하느님의 관점에서 불완전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가리키며 하느님의 적들과 관련되기도 합니다.13의 경우 완벽함과 완성, 우주 진리와 질서, 순환을 상징하는 숫자 12 다음에 오는 수로 끝, 죽음, 격변,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데 수비학적으로 13은 12+1로 완벽함과 우주 질서가 깨지고 새로운 질서가 탄생되는 모양새라 안좋은 의미로 여겨졌습니다.
Q. 조선시대 과거시험에도 컨닝이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팀을 만들어 컨닝을 하기도 했습니다.팀은 3명이상이 한 조가 되어 각자 역할을 분담했는데 선접꾼은 앞자리를 차지하고자 시험장 문이 열리면 달려갔는데, 문제를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맨 앞에 문제를 걸어놓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잘 보이는 자리를 선점하기 위해서였습니다.선접꾼이 자리를 차지하면 뒤따라 거벽, 사수가 등장했고 거벽은 족집게 과외선생으로 문제를 보고 답을 알려주는 대리응시자, 사수는 거벽의 말을 받아 글씨만 예쁘게 쓰는 필체 전문가였습니다.
Q. 조선시대 신문고는 백성이나 천민 누구나 울릴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문고를 울려 상소하는데에는 제한이 있었습니다. 신분에 따라서는 가능했지만 제약으로는 제한이 있었습니다.오직 종사에 관계된 억울한 사정이나 목숨에 관계되는 범죄, 누명 및 자기에게 관계된 억울함을 고발하는 자에 한해 상소 내용을 접수해 해결해주었습니다.즉, 역모, 살인, 친자확인, 정실구별, 양민 천민 구별에 제한된 것이었습니다.
Q. 지금까지 전해져오고 있는 아리랑은 어떤 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랑은 지역마다 무수히 많은 버전이 존재, 아리랑이라는 제목으로 전승되는 민요는 약 60여종으로 3600여곡에 이르는 것으로추정합니다.이 중 강원도 정선 아리랑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본조 아리랑, 밀양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진도 아리랑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