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정약용이 지금의 엑셀과 같은 자료를 만들었었다고 하는데,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현륭원 식목 사업을 마무리 지은 후 신하들에게 지난 7년간 인근 8개 고을에서 나무를 심었고 이제 논공행상을 하려하는데 심은 나무가 모두 몇그루고 어느 고을이 가장 많이 나무를 심었느냐 묻자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습니다.이제 정조가 관련 공문을 실어오게 하니 수레 하나가 넘칠 정도로 많아, 정약용에게 분량이 책 한권을 넘지 않게 정리해달라 요청합니다.정약용은 먼저 이 작업의 핵심으로 모두 몇그루인가, 어느 고을이 가장 많이 심었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아전을 시켜 공문을 고을별로 분류해 8개로 나누고 이 후 묶음마다 날짜순으로 정리, 연도별로 작은 묶음을 구분했습니다.고을별로 빈 도표가 그려진 종이를 주며 세로칸은 날짜 , 가로칸은 나무 종류를 적었습니다.공문 한장을 보고 빈칸을 채우고 그 다음장을 보고 그 다음칸을 채우는 방식으로 1년 단위로 집계하자 2~3일만에 공문서가 한장의 표로 정리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구려의 역사에 대해서 중국이 자기 역사라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북공정은 동북변방의 역사와 현재 상황 계열의 연구 사업으로 중국이 동북부 만주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 국가사업으로 추진한 연구 계획을 말합니다.궁극적인 목적은 중국의 전략지역인 동북지역, 특히 고구려, 발해 등 한반도와 관련된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만들어 한반도가 통일되었을 때 일어날 가능성이있는 영토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에도 본인의 이름을 개명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이규보를 보면 개명이 가능했던 것을 알수있습니다.이규보는 원래 이인저 였지만 후에 이규보로 개명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디자이너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가는데 알려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자이너는 실물을 제작하기 전 계획서, 설계도 등을 작성해 그 구조나 형태를 계획하는 사람을 말합니다.실물은 건물, 옷, 기계 등의 유형물이거나 법률, 서비스, 비디오게임, 그래픽 등의 무형물일수도 있으므로 회사에 따라 업무가 다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요즘 뉴스에서 잼버리 이야기가 많은데 잼버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스카우트 세계 세계 스카우트 연맹에서 주최하는 대회입니다.세계스카우트연맹에서 주최하며 매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스카우트 멤버들의 합동 야영대회이자 각국의 문화 교류를 위한 청소년 축제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춘추전국시대의 뜻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춘추전국시대는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를 아우르는 말로 기원전 770년 경 주나라가 견융의 공격을 받아 천도 한뒤부터 기원전 221년 진에 의해 중국 최초의 통일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의 시기를 말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뮤지컬. 클래식 연주 때 언제 박수를 쳐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박수는 곡의 시작과 끝에서만 치는데, 연주자가 인사할 때 치면 됩니다.또 공연이 마음에 들었다면 연주자가 마지막으로 퇴장 할때까지 박수를 치면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여름 휴가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관리들은 24절기 중 입춘이나 동지와 같이 한달에 두번 있는 24절기에 정기 휴가를 받았으며 정기적인 휴가도 있었습니다.조선 초 3년 1회, 조선 중기 이후로는 연 1회 주어졌던 지방 거주중인 보모를 찾아뵙는 부모방문휴가가 있었고, 거리에 따라 차등 지급되었습니다.또 연간 정기 휴가 일수는 약 38일로 선왕의 제사일 같은 국경일도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었으며 국왕이 임의로 정한 임시공휴일에도 쉴수 있었습니다.이왜 비정기적인 휴가가 존재했는데 휴가신청서라고 할수 있는 정사, 소지라는 문서를 제출해 결재받는 장식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관직에 앉은 사람들도 출퇴근 시간이라는 게 정해져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기본적인 출퇴근시간은 오전 5~7시 출근, 오후 5~7시 퇴근 이었습니다.또 해가 짧아졌을 경우 출근은 7시~9시, 퇴근은 오후 3시~5시 였습니다.주 7일 근무로 공식 휴일은 1년 15일, 점심시간은 없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한 시대의 소도라는 장소는 어떤 곳이고, 왜 왕의 권리도 행사할 수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도는 삼한 때 천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성지를 말합니다.소도는 성역이었으므로 당시 공권력의 힘이 미치지 못했습니다.이는 반대로 말하면 공권력자가 종교를, 종교권력자가 정권을 잡지 못한다는 것으로 만일 공권력자가 종교 지도자를 겸하는 제정일치라면 성역인 소도에서 범죄자를 끌어낼수있고 처벌이 가능합니다. 실제 소도에 사람이든 범죄자이든 받아들이는 것도 쫓아내는 것도 종교 지도자의 권한이었으므로 왕의 힘이 미치지 못했습니다.
8318328338348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