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케이블은 왜 동 즉 구리로 만드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도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속들은 여러 종류들이 있지만 구리를 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이유는 가성비 때문에도 전달할수 있는 전도성에 비해 구리가 가장 가격이 저렴합니다. 금이 더 전도성이 좋지만 사용하지 않는점을 예시로 들수 있듯이 구리는 가성비가 좋습니다.
화학공학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물질의 경도는 화학 결합의 강도인건 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은 분자의 결정구조와 결정화도가 결정하게 됩니다. 말씀하신데로 분자의 구조에 따라서 경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조에 따라서 분자구조의 밀도가 높을수록 결정화도 또한 비례하게 되고 더 단단한 경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높은 밀도가 Stress 저항에 대해서 좀 더 강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밤에 짐승들의 눈에서 불빛이 나는 이유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은 주위의 밝기에 대해서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동공이 확장 및 축소를 합니다. 그건 인간에만 국한된게 아니라 동물 또한 마찬가지인데, 밤에는 빛의 양이 작기 때문에 동공은 빛을 많이 받기위해 확장을 하며 그로 인해 눈이 커보이고 안광이 있는듯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화성의 중력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은 지구와 가장 유사한 환경을 구사하는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로 인해 화성의 중력에 대해서 알아보면 화성은 지구 중력의 40% 정도입니다. 지구의 인간이 화성에서 장시간 지내다 보면 신체의 뼈나 근육이 이상이 생기는 등 적응하지 못한 중력에 이상반응이 생길 것입니다.
화학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물과 기름을 섞여주는 유화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극성물질이고 기름은 무극성 물질입니다. 극성물질은 극성물질끼리 뭉치려고 하며 마찬가지로 무극성 물질도 무극성 물질끼리 뭉치려는 성질 때문에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유화제를 사용하게 되면 서로간의 계면의 경계를 약하게 하여 계면에서의 표면장력을 약하게 만듭니다. 그로 인해서 섞이지 않는 물질간의 혼합도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오디오 케이블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케이블은 전류를 전달하는 전도체 역할을 합니다. 동력의 전원과 더불어 통신신호를 전달하는데 오디오 케이블 같은 경우는 Signal을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케이블을 통해 신호가 전달 되면서 케이블의 종류 및 굵기 및 길이에 따라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종류에 따라서 음질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소재에 따라서도 전도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케이블에 따라서 음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뜨거운 공기는 위로가고 차가운 공기가 내려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에 열이 가하지면 분자구조가 밀도는 줄어들면서 무게가 가벼워지는 원리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부피또한 팽창하게 되어 무게는 가벼워지는 것이고, 이 원리를 사용하는것이 열기구로 예를 들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일상 생활에서 전자파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생활가전은...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전기제품은 EMC 전자파 시험을 통해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전자파가 발생하는건 사실인데, 전자파는 전력변환과정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중 모터를 사용하는 인버터와 컨버터를 사용하는 세탁기의 경우 모터 회전속도를 관리하기에 전자파가 제일 많이 발생할수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진짜 해변가에 있는 도시들은 물에 잠기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가 지속될수록 빙하는 계속해서 녹게 됩니다. 지구의 온도가 상승이 되면 빙하는 액체화가 되고 그로인해서 해수면의 높이는 계속해서 높아지는 편입니다. 직격으로 피해를 보는 나라는 영토가 육지와 인접하지 못해 4면 이상이 바다와 인접한 섬나라이며, 대륙의 해변쪽의 지면도 바다에 잠기게 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면 어떤 현상들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게되면 빙하가 녹게되고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되면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생태계가 파괴되게 될것입니다. 또한 해양온도도 변화가 생겨 바닷속 생명체의 생존에도 위기가오며 식료품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인류의 생존에도 위기가 올 것입니다. 또한 높은 온도로인한 냉방기의 사용량이 늘어 에너지의 고갈도 빨라지게 되어 환경적인 부분에서도 고갈현상이 일어날것입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