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바닷물이 증발해서 비로 내리는데 빗물이 왜 안짤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수증기로 될때 염분은 분해되지않고 수분만 분해되어 기화됩니다. 햇빛의 열에서 물의 분자구조는 기화가 되지만, 소금의 분자구조는 햇빛의 열에너지만으로는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구름의 성분에는 소금이 없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인체의 털이 있는 이유가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신체에서 털에 역할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수있는데, 첫째로는 세균의 침입을 막아줍니다. 콧털이 콧속에 들어오는 먼지를 막는 원리와 같은거죠. 두번째는 인체의 체온유지에 관여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밤에 밝은데 있다가 어두운곳으로갑자기 들어오면 깜깜하니 아무것도 안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밝은곳에 있다가 어두운곳에 왔을때 순간적으로 시야가 보이지않고 천천히 보이게되는걸 암순응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눈은 빛의밝기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변화하고 수정체의 굴절률을 변화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전기요금 이 많이 나오는데 전기제품을 어떤 걸 사얏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요금을 생각하면 확실히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높은 제품을 쓰시는게 유리합니다.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소비자들이 에너지 절약형제품 구입이 쉽도록 1~5 등급으로 구분시켜 놓았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1등급에 가까운제품을 구매하는게 유리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전선에 구리를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들은 대부분이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체들입니다. 물론 구리보다 전도성이 좋은 금속들이 많이 있지만 가격을 생각했을때 구리만큼의 전도성에 낮은 금액의 금속이 잘 없습니다. 즉 가성비 적으로 접근했을때 구리가 제일 좋은 금속이기에 전선에 쓰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가습기는 어떠한 원리로 물을 기체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가습기는 액체를 기화하여 수증기를 분사하는 원리가 아니라 초음파 진동을 통해 물방울을 아주 작은 크기로 만들어 공중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가습기가 동작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7일 작성 됨
Q.
달이 한쪽면만 보이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경우 동주기자전을 합니다. 이말은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똑같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지구에서 달을 봤을때는 달의 한쪽면만 보이게 되어 반대편은 볼수 없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기온이 올라가면 왜 얼음은 녹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은 분자구조가 육면체로 이루어져서 밀도가 낮고 부피가 물에 비해 커져있습니다. 즉 작은 열에너지를 가해도 분자간의 결합이 끊어져 물로 액화가 될수있고, 이를 녹는점이 낮다고 표현할수있는 것입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녹는점을 초과하게 되면 얼음이 녹는 원리입니딘.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참새가 전깃줄 위에 감전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는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흐릅니다. 높은 기압에서 낮은 기압으로 공기가 흐르듯이 밀도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됩니다. 즉 참새가 전선하나에 두발로 서있을때 양발의 전압차이가 없어서 전기가 흐르지 않는것입니다. 하지만 양발이 다른 전선에 접촉해 있다면 전기는 흐르게 될것입니다. 만약인간이 바닥에 서있는체 전선에 접촉한다면 전선의 전기는 바닥으로 흘러서 전기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는 점도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것같습니다.
물리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같은 물체가 위치에 따라서 가지는 에너지가 다르다라고하는데 맞는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엘리베이터가 자동낙하했을때 바닥에 부딪혔을때의 충격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것 같습니다.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가속도와 낮은곳에서 떨어질때의 가속도는 다를것입니다. 즉 힘은 무게와 가속도의 곱에서 정해지는데 높은곳에서 떨어질경우 높아진 가속도에 의해서 더 큰 힘을 가지게 될것입니다. 그럴경우 위치에너지가 더 크다고 표현할 수 있을것입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