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정훈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케이블에는 왜 구리가 사용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리가 주로 케이블에 사용되는 이유는 금전적인 이유입니다. 많은 전도체들중에 전도성에 비해서 금액적으로 가성비가 좋은 도체입니다. 물론 금 같은 전도성이 좋은 금속도 존재하지만 금액적인부분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220v를 사용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1970년대에 급격하게 전기사용량이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해결책으로 낸게 전압의 상승입니다. 전력은 전압 곱하기 전류입니다. 즉 전압을 올리게 되면 전력을 고정값으로해서 전류는 줄어들게되니 늘어나는 전기소모량을 줄일수 있는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전기는 어떻게 만들고 저장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는 운동에너지를 통해서 전기에너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이 원리를 이용한 기구가 발전기 입니다. 화력발전기나 풍력 발전기나 자전거 패달을 밟아서 전구에 불을 키는 실험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 것 같네요. 그리고 전기의 저장은 축전지를 사용합니다. DC 전압은 축전지에 저장이 가능합니다. 흔히들 건전지로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걸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전기는 운동에너지만 무한하다면 전기에너지도 무한 생성이 가능할 것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전기차 다음세대의 자동차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로써는 전기차의 연료를 대체할 에너지가 없는게 사실입니다. 기존 내연기관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는 영구적인 에너지가 아닙니다. 하지만 전기에너지는 재생에너지로 풍력, 태양열 등 제한이 없는 에너지입니다. 따라서 반영구적인 친환경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가 현재로써는 최종대안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전기 트랜스가 하는역할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트랜스는 Transformer를 의미하는데 AC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즉 전압을 올려서 승압을 하거나, 전압을 내려서 감압이 필요할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입력을 220V로 받지만, 사용하는 기기에서 필요 전압이 다를 경우 Transformer를 이용해 필요한 전압으로 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Transformer가 필요한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빙하가 녹게 되고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인류가 생활하는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 것입니다. 또한, 모든 생물들은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온도들이 다른데, 자신의 온도에 맞는 환경으로 이주하게 될것이고,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의도치 않은 진화가 일어날 경우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자동문에 접근했을 때 어떻게 문이 열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문을 열려면 도어 오픈 신호를 줘야됩니다. 그 신호는 사람이 가까이 오면 Active되는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신호가 들어오면 문을 열도록 통신신호를 주어서 문이 열리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두꺼비집의 퓨즈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퓨즈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의도치않은 과전류에 대해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겁니다. 퓨즈는 일반 회로에 설치되어 전기가 흐르는 선에 존재해서 없을시,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전기가 어떻게 생산되고 어떤원리로 힘을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모터와 발전기의 이해로 접근한다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게 발전기 입니다. 전기생산을 하게 되는거죠. 풍력발전기나 수력발전기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것 같아요. 반대인 모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 그 힘으로 기계를 동작시키는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기기기의 원리라고 볼수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상식질문입니다. 하늘은 왜 푸른 색을 띄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햇빛은 대기중에서 푸른색의 빛만 산란되어 시야에서는 푸른색의 하늘을 띄게 만들어줍니다. 저희는 그래서 하늘은 푸른하늘이라고 인식하게 되는겁니다. 원인인 산소 질소 수소 및 수증기 등의 입자들 때문이 맞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