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빙하의 후퇴 속도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빙하는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뉘게 되는데 육지빙하, 해빙이 있습니다. 육지빙하는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에 있는 거대한 빙상에 해당하며, 이 빙하가 녹으면 직접 해양으로 유입되면서 해수면을 상승시키게 해주지요. 해빙은 북극해의 해빙은 녹아도 해수면에 직ㅈ버적인 영향으 ㄹ주지 않게 되는데 이미 물위에 떠있는 존재이기 때문이지요! 빙하가 얼마나 빠르게 녹느냐에 따라 해수면의 상승속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륙 빙상이 빠르게 녹게 된다면 더 ㅁ낳은 담수가 바다로 유입되게 될것이고 해수면 상승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연안 도시가 침수되거나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더 심ㅎ게 받을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빙하가 천천히 녹으면 바다가 그 변화에 적응할 시간이 생기게 될것이며 이러한 경우 연안 지역의 방어 시스템 등으로 대응할 여유가 생길수 있게 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빙하가 빠르게 후퇴하고 이쓰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이에 맞춰 빨라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린란드 빙하는 매년 약 2800억톤의 얼ㅇ므이 녹아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고 남극 빙상도 매년 2500억톤 이상으 ㅣ얼음이 바다로 유입되고 있따고 합니다~! 20세기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우주는 어떤 시간으로 기준을 하는 건가요?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대는 각나라의 위치와 경도에따라다르게 설정되는 표준시입니다! 우주에서는 특정 국가에 속한 시간대를 사용하기 어렵고 그렇기에 UTC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의 회전과 원자 시계를 기반으로 정해진 표준시로 지구 주위를 국제우우정거장은 90분마다 한바퀴 돌기에 낮과 밤이 자주 바뀌지만 생활리듬을 유지하기 위해 UTC를 사용하여 일정을 관리한다고 합니다!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항성은 항상 밝게 빛이 나는데 멀리 있는 별을 깜빡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가 보는 별빛이 깜빡거리는것은 지구의 대기때문인데요~ 별빛은 지구로 도달하고 대기를 통과하게 되지요~ 대기는 완전히 고요한 공간이 아닌 끊임없이 움직이는 공기층을 가지게 되고 대기에서 온도차이나 기압차이에 의해 계속해서 흐르게 되는데 공기의 밀도가 계속 바뀌게 되며 빛이 굴절하는 방식도 달라지게 ㄷ ㅚ어 깜빡이는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빛은 공기의 밀도가 다른 영역을 통과할때 굴절하며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면 빛의 진행 방향이 순간순간 변하며 별이 깜빡이는것처럼 보이게 되고 별이 수평선 근처에 있으면 더 심하게 깜빡이게 됩니다! 밤하늘에서 행성은 깜빡이지 않는반면에 별은깜빡이는것처럼 보이며 별은 엄청나게 멀리있기에 점처럼 보이는 작은 광원이 되고 대기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점광원이 심하게 흔들리며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것입니다~! 행성은 별보다 훨씬 가까워서 작은 원반 형태로 보이게 되고 행성의 빛은 대기를 통과하며 여러개의 광선이 겹쳐져 영향을 받기에 심하게 깜빡이게 보이지 않게 되는것입니다!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밤하늘에 보이는 별빛은 어쩌면 과거의빛이라고
빛의 속도는 약 300,000km/s이며 매우 빠르지만 우주의 규모가 워낙 방대하기에 빛이 도달하는데는 시간이 꽤나 걸리게 됩니다.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센타우리 별은 지구에서 약 4.3광년 덜어져있게 되는데 빛의 속도로 4.3년을 가야한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밤하늘에 보는 별빛은 실제로 그 별에서 과거에 방출된 빛이 현재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되는것입니다! 우리는 별에서 나오는 빛이 즉시 도달하는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거쳐 도착한것을 관측하는 셈이며 현재 우리가 보는 별빛은 그 별이 오래전에 내보낸것이 되는것이지요~! 우주의 가장 먼 곳을 보게 되면 초기 우주의 모습까지 볼수 있으며 가장 멀리 본 은하는 약 130억년전의 우주의 모습을 보게 되는것입니다!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달은 지구주위를 공전한다고 하는데 왜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동시에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은 중력과 운동의 법칙때문인데요~ 공저니 발생하는것은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서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게 되고 이 힘을 두 물체의 질량에 비례시키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과정을 거치지요~ 이로 인해 질량이 큰 천체는 작은 천체를 강하게 끌어당기기에 지구와 달이 서로 끌어당기게 됩니다. 중력이 모든 천체를 끌어당긴다면 달이나 지구는 태양쪽으로 계속 떨어져야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데 운동방향과 속도 때문에 그렇게 됩니다! 천체가 단순히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것이 아니라 원래의 속도로 수평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며 중력에 의해 중심 천체 주위를 도는 궤도를 형성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중심을 향해 당겨지면서도 원래 가지고 있떤 운동속도가 있기에 곡선을 그리며 공전을 계속 하게 되ㅡㄴ것이지요! 지구-달-태양은 각각의 공전을 통해 중력의 균형을 이루고 있게 됩니다!
246
247
248
249
2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