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주 탐사 중에서 화성의 지하수 탐사를 통해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 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화성에서 지하수 탐사를 통해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할 가능서은 여전히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ㅓㄷ3어진 과학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화성지하에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여러 증거들을 발견하였다고 하지요~! 다양한 화성 탐사선과 로버에서 고대 호수나 강의 흔적을 발견하였다고 하지요~1 화성의 일부 퇴적층과 암석 분석 결과 물이 오랜 기간동안 존재했음을 암시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화성 지하에 대량의 얼ㅇ므이 존재한다는것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지하수가 생명체 연구에서 중요하것은 지금까지는 액체 상태의 물이 생명체의 필수 요소라고여겨지기 때문이지요! 화성의 표면은 강한 방사선과 낮은 기압으로 생명체가 생존하기 어려운데 지하에서 방사선 차단, 기온 유지, 보호된 환경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을수 있기 때문이지요! 지구에서도 심해 열수 분출구, 동굴 속 지하수, 심층 암석층 등에 미생물이 샌존한 사례들이 많이 있기에 화성에서도 이런식으로 살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는것입니다! 즉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수 있음을 암시할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현재 진행중인 화성 탐사선으로는 나사의 퍼서비어런스 로버,(2021~), 유럽우주국과 러시아의 엑소마스 로버(2028년예정)이 있습니다!
Q. 지구는 원래 아주뜨거웠다고 하는데 맞나요?
46억년 전 지구 형성 초기 엄청나게 지구는 뜨거운 행성이였지요. 이는 태양계가 형성될때 미행성들이 충돌하며 지구가 만들어졌는데, 소행성 충돌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며 지구 내부가 엄청 뜨거워지게 된거십니다. 초기에 지구 표면은 완전히 녹아 있는 마그마 바다 형태였찌요! 초기 지구 내부엔 우라늄, 토륨, 칼륨과 같은 방사성 워놋가 많았고 이 원소들이 붕괴할때 열을 발생시키며 지구 내부를 계속 뜨겁게 유지하게 하였습니다. 지구가 점점 커지며 내부 물질들이 중력으로 압축되며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지구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아졌지요!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우주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고 화산활동과 가스가 방출되고 바다가 형성되고 점차 온도가 낮ㅇㅏ지기 시작하였답니다!
Q. 한국항공우주산업 입사법(중3).
우주 관련 일을 하려면 크게 연구와 산업 두가지 방향으로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전공은 이공계열 공부를 하여야 하며 항공우주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물리학, 천문학, 컴퓨터 공학 등을 공부하면 되지요! KAI같은곳은 항공우주공학이나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이 가장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연구기관에서는 석사나 박사가 있는게 당연히 더욱 더 입사하는데 유리하지요~ 특히 박사까지 가는게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