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페로제도의 물라포수르폭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자연적인 지형과 독특한지리적인 환경으로 형성된 폭포로서 페로제도의 바가르섬에 위치한 물라포수르 폭포는 과거 빙하기 동안 빙하에 의해 깊게 깍이고 조각되었다고 알려진 페르제도에서 빙하가 녹으면서 형성된 산과 계곡이 가파른 절벽 지형을 만들어 내게 되었고 물라포수르 폭포가 있는 지역도 과거 빙하의 침식으로 절벽이 형성되고 이 절벽 위를 흐르던 강물이 폭포를 이루게 된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페로제도는ㄱ ㅏㅇ수량이 매우 풍부한 지역으로 높은 강수량은 폭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산악 지형에서 지하수와 빗물이 모여 강을 형성하고 강물이 절벽 끝으로 흘러가면서 폭포를 이루게 된것이죠! 강한 해양 바람과 파도의 침식작용은 절벽의 형태를 귾임없이 변화시키며 폭포의 현재 모습을 유지하게 해준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Q.  가을 초저녁 동남쪽 하늘에 매우 밝게 빛나는 별이 무엇인가요?
가을 초저녁 동남쪽 하늘에서 가방 밝게 빛나는 별은 대부분 목성입니다. 목성은 겉보기 밝기가 -2.0~-2.5로 우리눈에 매우 밝게 보입니다. 목성은 행성중에서도 유난히 밝게 보이며 깜빡이지 않고 일정한 빛을 내게 되며 가을철 동남쪽에 목성이 주로 떠오르게 됩니다~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주변의 작은 점처럼 보이는 4개의 위성들이 있습니다
Q.  SSI (Socio - scientific Issues) 사례에 무엇이 있나요??
사회-과학적인 쟁점은 과학과 사회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문제들로서 과학적인 사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윤리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얽혀 있는 사례를 의미하게 되지요. 이러한 문제들은 과학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활용하게 해주지요~ 대표적인 SSI사례로 유전자 편집,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 백신 접종과 공중보건, 우주개발과 자원활용, 핵에너지와 방사성 폐끼물,플라스틱 사용과 미세플라스틱 오염, 인공지능과 자동화시스템, GMO, 핵폐기물 등이 있습니다!
Q.  인간은 왜 쉽게 달에 도착하지 못하나요?
우선 달까지의 평균적인 거리는 38만4,400km인데요. 이거리는 매우 먼 거리이죠~ 달에 도달하기 위해선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것은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기 위하여 초속 11.2km로 나아가는 물질을 만들어야하는데 이를 만들기가 쉽지 않았었습니다~ 달 탐사는 고도의 로켓 공학과 항공 우주 기술이 필요로 하다는 것이지요. 또한 달에 도달하려면 지구와 달의 궤도, 중력, 속도 등을 정밀하게 계싼하여야 하며 작은 오차도 전체 임무를 실패하게 만들수 있으며 인간이 실제로 이곳을 가기 위해서 여러가지 힘든 것들을 이겨내야하는데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달의 미세중력을 이겨내고 여러가지의 스트레스를 이겨내는게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짐은 굉장히 비싸다는것이죠. 달을 갔던 대표적인 아폴로 프로젝트는 1500억달러정도를 사용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Q.  서해바다에서 가장 깊은 곳은 어느쪽에 있나요? 그 깊이는 확인이 되었나요?
서해바다는 최대 100~150M정도로 알려져있으며 평균수심이 약 44M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해는 대륙붕 해역으로서 깊고 가파른 해구가 거의 없지요! 즉 상대적으로 얕고 수심 변화가 완만하고 대륙붕의 확장된 지형으로 인해 얕게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조수간만의 차가 크게 나타나는 편니다!
3463473483493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