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온도에 따른 얼음이 녹는 속도를 계산하는 공식이 있나요?
얼음을 녹이는데 필요한 열량은 얼음의질량과 얼음의 융해잠열을 곱하여 계산하게 되는데요~이를 통해 열전달계수*얼음의표면적*주위온도와 얼음 표면 온도간의 온도차 * 시간 을 통해 얼음이 녹는것을 구할수 있께 됩니다!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대기권? 성층권?의 높이는 얼마인가요?
대기권은 크게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중 말씀하신 성층권은 고도 10~20km를 나타내고 있으며 위도별로 조금씩 다르게 되는데요. 적도는 18~20km까지 중위도는 10~15km, 극지방은 8~10km정도가 됩니다. 대기권 전체의 높이는 정확히 고정된 경계는 따로 없으며 대략적으로 1000km로 나뉘게 된다빈다!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물리천문학자 혹은 천체물리학자 되는 법
가장 먼저 수학과 과학에 대한 기초가 다져야 합니다. 이는 천체물리학이 고도의 수학과 물리학적 사고를 요하기 때문인데요 미적분, 선형대수학, 물리학, 화학, 컴퓨터 관련 등의 공부를 이룩하고 관련 대학을 가야하겠지요. 천문학이나 물리학을 전공하여야 하며 대학원을 진학하여 석사와 박사 공부를 해야 할것입니다!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우주에는 블랙홀이 있다고 하는데 실제 모습
블랙홀의 경우 실제로 관측한 사진이 있습니다~ 이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여러 전파망원경을 연결하여 지구 크기의 가상의 망원경으로 만듦)을 통해 확인하였는데요 M87 은하의 초거대질량블랙홀을 촬영하였답니다~ 이곳의 블랙홀 질량은 태양의 65억배 정도라고 알려져있으며 약 5500만광년 떨어져있는ㄱ서으로 알려져잇습니다. 이곳의 강착 원반에서 나오는 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왜곡된 모습을 보게되며 중앙의 검은 그림자가 사건의 지평선 내부로 들어간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주변의 밝은 고리는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기 직전의 물질에서 방출된 빛이 강한 중력에 의해 휘어진 결과로 나타난것을 ㅗ보고있습니다!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해저 탐험과 우주 탐험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요?
둘다 각각 여러가지 영향을 미칠수 있기에 둘다 중요할것 같은데요~ 해저탐사의 경우 지구 표면의 약 71%를 해양이 차지하는데 대부분은 아직 탐험이 이루어지지않았으며 (약 5%만 탐험) 해양은 탄소와 열을 젖아하며 지구의 기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해양 생태계와 순환을 이해해야 여러가지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잇습니다. 또한 미지의 생명체로서 심해는 극한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독특한 생명체들도 있으며 여러 자원들이 있는것으로(희귀 금속, 망간, 니켈 등) 알려져있고 메탄 하이드레이드같은 새로운 에너지원이 발견될수도 있습니다~ 우주의 경우 지구외의 인간 생존가능한 곳과 과학기술의 발전 자원탐사 등의 여러가지것들을 해소할수 있기에 두가지 다 중요할것같아요
366
367
368
369
3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