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서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 되고 있는데요. 가장 오래된 방법중 하나는 전파 신호를 통해 외계 문명의 흔적을 찾으려고 하는것이지요. 이를 SETI프로젝트라고 하며 우주에서 나오는 라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지적인 외계 생명체가 인위적으로 보낸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지요. 라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레이저나 플래시 같은 광학신호도 탐색하게 되는데 외계 문명이 라이트 펄스를 보낼 가능성에 대비해 정밀한 광학 장비로 특정 파장대의 신호를 관측하며 행성의 대기를 통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는 방법도 진행하고 있지요. 외계 행성의 대기중엔 산소, 메탄, 오존같은 생명체의 흔적으로 여겨지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도 분석하게 되지요. 먼행성의 표면에서 생명체가 남긴 화학적인 흔적을 찾는 방법도 한가지이며 직접 있느지 확인하기 위해 탐사선을 보내기도 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온난화 늦추기위한 일반인으로 할수있는게있을까요?
일상 속에서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작은 실천들이 여러가지 있는데 전기를 절약하거나(냉방과 나방의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전기 제품을 사용함),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자전거, 걷기 등의 활동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재활용을 하거나, 식습관을 식물성 식단등으로 바꾸ㄴ며 지역의 생산품을 사용하여 운송 루트를 최소화 시키는 방법을 활용하거나 식수를 절약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하여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보이저호의 신호는 어떤형태로 지구에 도달하나요?
보이저는 2진법 신호를 사용하여 지구에 전파형태로 전송을 하고 있으며 보이저호는 내부 장치에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전파로 바꿔 지구로 송신하게 합니다. 광속으로 전파되며 보이저가 지구에서 매우 먼 거리에 있끼에 수시간에서 수십시간이 걸려 지구에 도달하게 합니다. 지구에서 NASA의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가 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를 DSN이라고 합니다. DSN은 미국, 스페인, 호주에 위치한 대형 안테나드로 구성되어있꼬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보이저와의 위치가 바뀌어도 끊김없이 신호를 수신할수 있께 되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