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성 이주가 지금 기술로도 가능할까요?
현재 기술로도 화성 이주에 대한 연구와 시도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요~하지만 굉장히 어려운 기술력이 요하게 되는데 이는 화성까지의 거리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이지요~ 화성까지의 여ㅐㅎㅇ에는 6~9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화성에 도착한 후 지구로 돌아오는 왕복 미션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많은것들을 요구하지요~ 지구는 자기장이 방사선을 차단해주지만, 화성에는 자기장이 없어 방사선에 대한 노출이 매우 높으며 장기간의 방사선 노출은 암, 유전자 손상 등의 위험을 가져오기에 방사선을 막을수 있는 보호막이 필요하며 현재 실험 단계의 방사선 보호 기술이 있지만 완전히 안전하게 보호하는 수준은 힘들지요. 화성은 지구처럼 쉽게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닙니다. 극한의 온도 얇은 대기층 낮은 기압 등이 식량 생산과 물 자원 확보에 큰 장애가 됩니다. 화성은 지구처럼 쉽게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며 극한의 온도, 얇은 대기층, 낮은 기압등이 식량 생산과 물 자원 확보에 큰 장애가 됩니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화성은 대기의 압력이 낮고 산소가 없기에 사람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지하 공간이나 두꺼운 돔 형태의 건축물에서 생활하여야 할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것들을 사람이 살수 있는 환경으로 조성한 이후 수십년내에 사람들이 갈수 있지 ㅇ낳을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별의 수를 정확하게 측정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별의 개수는 정확환 측정이 현실적으로 너무 어렵습니다~ 이는 너무나도 우주가 광대하고크기 때문이지요~ 천문학자들ㅇ느 별들의 갯수를 측정할때 특정 영역에서의 밀도와 밝기를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다른 비슷한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은하 전체의 별 수를 확인하게 합니다. 또한 은하의 질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별의 개수를 추산하기도 하지요. 별뿐만 아니라 은하 내의 가스, 먼지, 암흑물질이ㅡ 질량도 계산에 포함하며 은하의 전체 질량을 알게 되면 별 하나의 평균 질량을 기준으로 몇개의 별이 있는지 추정하게 되는것이지요~ 별은 탄생하고 진화하며 마지막에 소멸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별들의 나이 분포화 형성 속도를 고려해 현재의 총 별 수를 추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것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통계적인 자료를 활용하기도 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돌리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