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 이주가 지금 기술로도 가능할까요?
현재 기술로도 화성 이주에 대한 연구와 시도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요~하지만 굉장히 어려운 기술력이 요하게 되는데 이는 화성까지의 거리가 굉장히 멀리 있기 때문이지요~ 화성까지의 여ㅐㅎㅇ에는 6~9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화성에 도착한 후 지구로 돌아오는 왕복 미션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많은것들을 요구하지요~ 지구는 자기장이 방사선을 차단해주지만, 화성에는 자기장이 없어 방사선에 대한 노출이 매우 높으며 장기간의 방사선 노출은 암, 유전자 손상 등의 위험을 가져오기에 방사선을 막을수 있는 보호막이 필요하며 현재 실험 단계의 방사선 보호 기술이 있지만 완전히 안전하게 보호하는 수준은 힘들지요. 화성은 지구처럼 쉽게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닙니다. 극한의 온도 얇은 대기층 낮은 기압 등이 식량 생산과 물 자원 확보에 큰 장애가 됩니다. 화성은 지구처럼 쉽게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며 극한의 온도, 얇은 대기층, 낮은 기압등이 식량 생산과 물 자원 확보에 큰 장애가 됩니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화성은 대기의 압력이 낮고 산소가 없기에 사람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지하 공간이나 두꺼운 돔 형태의 건축물에서 생활하여야 할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것들을 사람이 살수 있는 환경으로 조성한 이후 수십년내에 사람들이 갈수 있지 ㅇ낳을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은 어떻게 생긴걸까요?
유성은 지구의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암석이나 작은 먼지와 같은것들이 지구이ㅡ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유성은 대부분 아주 작은 우주 먼지나 작은 암석 조각들로 태양계의 다른 천체에서 분리되거나 충돌로인해 우주에 남은 파편에서 기원하게 되며 유성체(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는 암석이나 먼지)는 시속 수십km에 이르는 매우 빠른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하며 이때 지구의 대기와 격렬하게 충돌하며 마찰이 발생하고 마찰로 엄청난 열이 발생하며 유성체가 가열되게 되는것이지요. 이 가열로 인해 표면이 매우 뜨거워지고 녹아내리면서 기화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것을 우리가 보면 그게 유성입니다~ 유성이 대기와 부딪혀 빠르게 가열되면서 녹거나 타고 플라즈마 상태가 되게 되는데 유성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밝게 빛나는 선을 만들어내며 우리는 별똥별이라고도 합니다! 지표면에 닿기전에 거의 대다수가 소멸되는 경우가 많으며 정말 큰 유성체가 대기에서 모두 사라지지 않는 경우도 있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의 수를 정확하게 측정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별의 개수는 정확환 측정이 현실적으로 너무 어렵습니다~ 이는 너무나도 우주가 광대하고크기 때문이지요~ 천문학자들ㅇ느 별들의 갯수를 측정할때 특정 영역에서의 밀도와 밝기를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다른 비슷한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은하 전체의 별 수를 확인하게 합니다. 또한 은하의 질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별의 개수를 추산하기도 하지요. 별뿐만 아니라 은하 내의 가스, 먼지, 암흑물질이ㅡ 질량도 계산에 포함하며 은하의 전체 질량을 알게 되면 별 하나의 평균 질량을 기준으로 몇개의 별이 있는지 추정하게 되는것이지요~ 별은 탄생하고 진화하며 마지막에 소멸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별들의 나이 분포화 형성 속도를 고려해 현재의 총 별 수를 추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것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통계적인 자료를 활용하기도 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돌리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지구는 은하 속에 있잖아요. 그럼 우리가 보는 별은 모두 우리은하의 별인가요?
우리가 밤하늘에 보는 별들은 거의 모두 우리 은하에 속한 별들인데 이는 우리 은하가 지름이 약 10만광년에 달하고 수천억개이ㅡ 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보는 밝고 눈에 띄는 별들은 우리 은하 안에서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들이빈다. 맑은 밤에 하늘을 바라보게 되면 은하수가 희미하게 흐르는 듯한 띠 모양으로 보이며 은하수들은 실제로 우리 은하의 디스크를 옆에서 바라보는 모습처럼 보이며 수많은 별들이 빽빽하게 모여 있어서 그렇게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우리 은하에는 수많은 별들이 존재하며 그중에서도 우리 눈에 보이는 별들ㅇㄴ 극히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대부분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별ㄷㄹ이고 멀리 있는 별들은 너무 희미해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우리가 다른 은하를 잘 볼수 없는것은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은 우리 지구처럼 어느정도 대기를 가지고 있나요?
화성의 대기는 지구의 대기에 비해 매우 희박하고 대기의 기압이 지구의 대기압의 약 0.6%밖에 안됩니다. 이말인 즉슨 지구 대기에 1/170정도로 희박하다는 것이며 기압이 매우 작게 됩니다. 또한 대기가 거의 대다수가 95%정도의 이산화탄소를 가지게 되며 질소는 2.7%정도 아르곤이 1.6%정도이며 우리에게 꼭 필요한 0.13% 정도의 산소밖에 없는게 가장 큰 흠이죠~ 화성의 대기는 지구보다 매우 얇기에 태양의 열을 잘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평균적으로 -60도입니다. 화성은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고 지구처럼 뚜렷한 계절변화가 있지만 방사선 차단 효과가 거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요~
4764774784794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